본문 바로가기

역사 바로알기

최치원 최치원(崔致遠, 857~?)은 유교∙불교∙도교에 이르기까지 깊은 이해를 지녔던 학자이자 뛰어난 문장가였다. 하지만 높은 신분제의 벽에 가로막혀, 자신의 뜻을 현실정치에 펼쳐보이지 못하고 깊은 좌절을 안은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그가 이룩한 학문과 문장의 경지는 높았으나, 난세를 산 그의 삶은 그가 이룩한 높은 경지만큼 불행했다. 열두 살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난 6두품의 천재 신라 6두품 출신으로 당으로 건너가 18세에 빈공과에 장원으로 합격한, 신라 최고의 천재 최치원. 868년 어느 날, 당나라로 떠나는 열두 살의 최치원에게 아버지는 말했다. “10년 공부하여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면 내 아들이라고 하지 말아라. 나 역시 아들이 있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가서 열심히 하거라.” 먼 곳으로 어.. 더보기
성씨 ([네이버 지식백과] 성씨 [姓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씨 정의 출생의 혈통을 나타내거나 한 혈통을 잇는 겨레붙이의 칭호 내용 성씨란 일정한 인물을 시조로 하여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단계혈연집단(單系血緣集團)의 한 명칭이며, 곧 족적 관념(族的觀念)의 표현이라고 볼 수도 있다는 데서 결국 족의 문제와 직접 연결된 것으로, 고대로 거슬러 올라 갈수록 더욱 밀착되어 있다. 후대의 성씨는 한자식 표기로서 이름 앞에 붙어 족계(族系)를 나타내는 동계혈족집단의 명칭을 가리키고, 이는 바로 중국식 출자율(出自律)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성과 씨는 역사상 때로는 함께 붙어서, 때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본관과 함께 사용하여 혈연관계가 없는 동일한 성과 구별된다. 여기에서 현재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본·성·이름을 가지게 되어 있다. 성씨는 발생한 이래 계.. 더보기
광산 이씨 (위키백과 2013년 2월 23일 (토) 17:42) 광산 이씨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한국의 성씨이다. 연원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신라 종성(宗姓)인 김씨(金氏) 김알지후손으로, 궁예의 5세손 이종금(李宗金)을 시조로 한다. 득성조 이종금(李宗金)은 1010년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거란 2차 침공때 전투에 참가하여 강화성을 지키는 공을 세웠고, 1018년 거란의 3차침입 때 강감찬과 더불어 공을 세워 덕종 2년(1033)에 광산군에 추증되고 이종금(李宗金)이라고 사성명 받았다. 후손들은 이종금의 8세손 이순백(李珣白)=상서공파, 이숙백(李淑白)=한림공파, 이승백(李升白)=제학공파로 분파조를 이루고 있다. 이종금은 1010년(고려 현종 원년) 거란의 40만 대군이 침략하였을 때 휘하의 주군을 이끌고 강화성을 굳게 지켰다. 1018년.. 더보기
기대승의 ‘실천선비정신’ 깃든 광주 월봉서원 (오마이뉴스 2004-02-25 18:13) 기대승의 ‘실천선비정신’ 깃든 광주 월봉서원 ▲ 월봉서원. 기대승의 실천선비정신이 가득 담겨 있다. ⓒ2004 유길수 요즘 대한민국의 대다수 사람들은 기호지방하면 충청도만을 떠올린다. 서울 포함 수도권은 이미 지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동시에 기호학파하면 율곡 이이 선생만을 일단 생각해낸다. 그 뒤에 영남지방은 경상남북도, 영남학파의 거두는 퇴계 이황 선생, 그리고 이이와 이황이 우리 민족 사림문화 ‘두 대표’로 ‘교통정리’하기 일쑤이다. 게다가 호남지방하면 전라남북도 지역, ‘남도’하면 전라도 지방으로 지레짐작한 뒤에 곡창지대, 풍류의 고장, 특별한 예술문화지역쯤으로 예단해 버린다. 시간이 허락되면 동학란, 광주학생의거, ‘5월 18일의 광주’ 등은 의로움의 한 상징으로 덤인심 쓰듯 ‘호남해석’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