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 로 필/칼 럼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식품 공급 대비해야 [한국수산경제신문 2010.12.17]

[2010.12.17]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식품 공급 대비해야



이 인 곤 전라남도 해양수산환경국장

우리 전남은 해양자원의 보고이다. 전국 섬의 2/3에 해당하는 1,964개의 섬과 6천여㎞에 이르는 해안선을 갖고 있으며, 전국 바다면적 71천㎢의 37%인 26천㎢의 오염되지 않은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은 전국 생산량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김과 미역 등 해조류는 전국 생산량의 85%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등 원양산을 제외한 국내산 수산물에 대하여는 전남 수산물이 사실상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건강을 최우선시하여 친환경으로 생산한 안전한 먹거리를 찾고 있어 청정해역인 전남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에 대한 수요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0년(1906~2005년)간 지구의 평균 온도는 0.74℃(0.56~0.92℃) 상승했으며 만약 2100년까지 화석연료에 의존한 현재의 경제발전 시나리오를 유지할 경우 지구 평균온도는 최대 6.4℃, 해수면은 최대 59cm 상승할 것으로 전망(IPCC)되고 있으며, 지구 평균온도가 3℃ 정도만 상승한다고 해도 인류가 식품으로 이용할 농수산물 등의 부족현상이 증폭될 것이다.
이로 인해 국가간 생존을 위한 자원확보 분쟁 및 기후난민이 발생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해수면의 수위는 1961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1994년 이래로 상승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2015년까지 0.04~0.06m, 2050년까지 0.08~0.25m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수온상승은 지난 30년간 동해 근해의 수온이 0.62℃, 남해가 0.61℃, 서해가 0.88℃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선진국에 비해 기후변화 관련 정보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우리나라는 국제적인 기후변화 협상 및 미래자원 확보차원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도 있다.


더욱이 우리는 태평양 연안 국가들처럼 식량자원에서 수산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상황은 아니지만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국가이기 때문에 해양, 수산업을 기반으로 생업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기후변화는 해류와 강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이것이 해양생태계와 어족자원의 생산과 분포에 영향을 끼쳐 우리 연근해 지역의 수산자원 감소를 가속화시키고 주요 어종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어업인의 수익을 감소시켜 어업활동을 포기하게 하는 등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환경의 변화와 수산업 전 분야의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수산자원확보 및 이익실현 측면에서 저해요인을 극복하고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대책수립 및 수산식품의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전체 공급체계 각 단계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한 장단기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는 연안 및 연안습지의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은 세부 분야별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정보를 확보하고 분석하여 대응체계의 마련을 위한 지역별 연안기후변화 연구센터의 설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바다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의 경제적 가치가 상승하고 전 세계적으로 수산물 소비가 증대하고 있는 점을 감안 아열대화 되어 가는 서남해안의 연안에서 서식이 가능한, 새로운 수산생물 자원의 확보와 우량 어패류 자원의 방류사업 확대 등 수산자원 증대를 통한 기후변화 대비체계를 확고히 해야 한다.


아울러 바다를 이용한 지구 온난화 예방을 위해 열대우림 보다 C0₂저감능력이 5배 이상 높은 해조류의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이 CDM사업 대상으로 인정받기 위한 국가 연구사업의 조속한 진행과 갯녹음이 진행중인 연안의 바다숲 조성사업의 확대 추진 등 해양산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의 기반구축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재정지원의 확대가 절실하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의 변화와 수산식품의 공급 문제 해결을 위해서 전남도의 해조류 및 전복, 참조기, 해삼연구센터 설립 등 해양수산분야 연구사업의 확대를 통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