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인물열전

국회의원 18명에 지자체장 16명`TK 신주류` 급부상 (서울경제 2010/09/28 00:48:03) 국회의원 18명에 지자체장 16명… 'TK 신주류' 급부상 [한국의 新人脈] 파워그룹, 파워인맥 4. 영남대가 뜬다 정계, 전재희·주호영·최경환 주축 '박근혜 前이사장'도 각별한 인연 재계, 이승한·석호익·이동걸 등 산업·증권·금융계 곳곳에 포진공직선 이현동·이채필 등 핵심 김관용·김범일 등 단체장도 다수 국회의원 18명, 지자체장 16명, 공기업 및 대학 총장 17명,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52명, 재계 CEO 및 중견기업인 6,000여명. 대한민국 사회를 주도하는 일부 명문대 출신 인사들의 숫자가 아니다. 다름 아닌 TK(대구ㆍ경북) '신주류'로 이명박 정부 들어 급부상한 영남대 인맥의 현주소다. 영남대 출신은 그들만의 인맥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 '오피니언 리더'의 한 그룹으로 이미 자리를 잡았다는 평.. 더보기
`법원행정처 출신` 법관 네트워크 양대 축 형성 (서울경제 2010/08/10 16:15) '법원행정처 출신' '연구모임' 법관 네트워크 양대 축 형성 [한국의 新人脈] 파워그룹, 파워인맥 3. 법조게를 움직이는 사람들 이용훈·최종영·김덕주 등 대부분 대법원장 '행정처 이력' 우리법연구회·민사판례연구회등 각종 학술모임도 강력한 고리로상명하복이 중요한 검찰 조직과는 달리 재판관의 독립적 판단을 중시하는 법원에서는 탄탄한 인맥의 끈을 찾기 쉽지 않다. 하지만 일선 현장의 법관들은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법원 내에서도 보이지 않는 끈끈한 네트워크의 힘이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20여년간 법원 최고 정점인 대법원장을 지낸 법관의 이력을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대부분 법원행정처의 요직을 거쳤다는 것. 법원가에서 이른바 '파워 인맥'의 첫번째 조건으로 '법.. 더보기
<2부>파워그룹, 파워인맥 2. 재계 2·3세 경영인 (서울경제 2010/09/28 00:02:30) 해외 명문대 학맥·오너 가문 혈연이 '인연의 고리' 역할 [한국의 新人脈] 파워그룹, 파워인맥 2. 재계 2·3세 경영인 이미경·조현문·김동관 등 하버드대서 경영수업 받아 구광모·허세홍·현정담 등은 스탠퍼드대 동문 관계 범삼성·현대·SK그룹 등은 사촌들 경영일선서 맹활약'학연'과 '혈연'은 재계 2ㆍ3세를 하나로 묶어주는 인연의 고리다. 재계 2ㆍ3세의 경우 창업주 세대와 달리 젊은 나이에 외국으로 유학을 떠나 경영학을 전공한 경우가 많다. 국내 기업의 활동무대가 세계시장으로 확대되면서 일찌감치 글로벌 감각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같은 해외 대학에서 공부한 경험과 유대감은 이들 재계 2ㆍ3세 간을 이어주는 끈끈한 네트워크가 되고 있다. 또 창업주 일가의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도 이들을 .. 더보기
`왕의 남자` 복귀… 이상득·정두언과 親李계 3각축 구축 (서울경제 2010/09/27) '왕의 남자' 복귀… 이상득·정두언과 親李계 3각축 구축 [한국의 新人脈] 파워그룹, 파워인맥 1.대통령의 사람들 SD계·이재오계 협력속 경쟁예고 정두언 등 소장파 '워치독' 역할 안상수 대표도 권력한축 맡을듯 이명박(MB) 대통령의 킹메이커 역할을 했던 이재오 의원이 7ㆍ28 재보선을 계기로 여의도로 복귀하면서 여권 내 권력의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MB의 집권 반환점을 맞아 레임덕 우려를 씻고 무기력했던 여권에 자신감을 불어넣는 한편 친이계 내 협력과 경쟁을 촉발할 전망이다. 친이계는 2008년 4월 총선에서 이 의원이 낙선하고 미국에 유학한 것을 계기로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SD) 라인과 원로그룹이 독주해 왔다. 하지만 이 의원의 복귀로 앞으로는 SD라인과 이재오계가 힘을 합치는 가운데 일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