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자원전쟁

모나자이트

모나자이트

 

 

 

 

모나자이트

 

Monazite. 토륨광석의 일종이예요 화강암 페그마타이트(거정(巨晶)) 중에서 산출되요

갈색의 주상 또는 판상의 결정이며 투명감이 있어요

우라늄이나 토륨을 함유하며 자기의 방사선으로 장석을 붉게 하고 석영을 검게 변색시키고 있죠조성은 (Ce, La, Th)PO4·ThO2의 함유량 1∼15 %(약 88 %가 Th)이고

U3O8의 함유량은 0.01 %이예요

 

 

모나자이트(Manazite) - 희토류 광물 Ⅱ

  모나자이트[REPO4]는 일반적으로 70% 이상의 희토류 산화물(Rare Earth Oxide)과 3.2%의 이트륨 산화물(YttriumOxide)을 함유하는 단사정계 인산염 광물이다.

 황색 또는 적갈색을 띠며, 가늘고 긴 모양으로 유리광택(반투명)을 지닌다.

 모나자이트(Manazite)는 화학적 및 기계적으로 안정되어 풍화 저항성이 크며, 반복되는 풍화작용의 결과 전 세계적으로 해빈사나 강가의 사광에 농집되어 흔히 산출된다.

 모나자이트(Manazite)는 일반적으로 티탄철석(ilmenite), 금홍석(rutile), 주석석(cassiterite), 지르콘(zircon) 등을 회수하기 위한 사광 처리공정에서 부산물로 회수 된다.

 해빈사 광체로 1989년 호주 해변사광에서 채굴된 모나자이트(Manazite)는 당시 세계 생산량의 45%를 차지한 적도 있다.

 모나자이트(Manazite)의 현재 주요 분포지는 호주, 브라질, 인도, 남아공, 스리랑카, 마다가스카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 태국, 남·북한,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등이 있다.

 토륨이 풍부하게 함유된 모나자이트(Manazite)는 현재까지 세계에서 토륨을 추출 해 내는 중요한 자원이다.

 인도의 해변사광 및 대만의 해변사광에서 산출되는 모나자이트(Manazite)는 일찍이 토륨 회수에 이용되었다.

 국내에서는 강원도 홍천과 서해안 일대에서 모나자이트(Manazite)산출이 일부 확인된 바 있다.

 자료원) 한국광물자원공사 첨단산업 비타민 희토류(Rare Earth Elements) - 희토류 주요 산출광물(모나자이트)

[출처] 모나자이트 - 희토류|작성자 RnD

 

 

 

 모나자이트 란

 (http://cafe.daum.net/blackstonetrade/ekuL/9  2010.10.27. 17:55)

 

우리가 흔히 음이온 이라고 부르는 광물은 [모나자이트]로 희토류 금속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인산염 광물이다.

화학 성분은 (Ce, La, Y, Th )PO4이며 판상 또는 단주상의 결정을 이루며 때로는 입상,괴상이다. 가장 흔히 접하는

것은 강이나 해변의 모래 같은 층적광상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타이, 말레이지아, 인도,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사광을 이루어 대량으로 산출된다. 최근 중국에서 희토류 광물을 독점하기 위해(중국은 전세계 희토류 금속의
70%를 생산 판매 중) 원광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광물을 구하기가 쉽지 않으며 원광의 가격도 오르고 있다.
물론 국내에도 없는 것은 아니다. 공주 일원의 하천에서 일부 발견은 되었으나 함량이 너무 적어 상업적 가치가 없어

개발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모나자이트]는 일본과 중국,국내에서 건강용품에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 광물이다. 운동시 생성되는 젖산의 분해를

 가속화시켜 피로회복을 도와주고, 혈액을 알카리화하여 혈류 속도를 증가시키고, 활성산소를 포획하여 노화를 지연

시키는 것이 대표적 기능이다.
세라믹 재질이나 플라스틱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큰 기술이 필요없지만 원사에 삽입하거나 원단에 후가공으로

적용할 때는 별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원단에 후가공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여왔지만 세탁을 거듭할수록

입자가 탈리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로 심각히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원사를 방사하는 공정에서 분말을 첨가하여 세탁을 하더라도 입자가 탈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사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입자를 나노화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며 나노화된 입자는 하나하나 개별로 분산을

잘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325메쉬의 음이온 광물을 평균 500nm로 가공하였을 때 같은 무게에서 부피는 6배로

증가한다. 나노화된 입자는 서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기에 부피는 급격히 증가한다.
또한 원사의 색상을 백색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모래 성분에 포함된 불순물의 정제 공정을 거쳐 원광의 백색도를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백색도가 향상된 제품은 원사의 색상이나 후가공 제품의 색상에상당히 유리하다. 이러한 제품은 이온코리아

에서만 생산이 되고 있다.

아래 그림은 #325메쉬의 음이온 분말(왼편)과 평균 500nm의 음이온 분말(오른쪽)의 부피 비교한 것으로  같은 무게에서

나노 사이즈의 제품이 6배로 부피가 증가한다.

 

                                                               왼)#325                            오)평균 500nm

 

아래 그림은 시중에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베이지 색상의 음이온 분말과 당사의 백색 정제 음이온 분말의 색상을 비교한

것으로 한눈에 차이를 알 수 있다.

 

                                왼) 베이지 색상 음이온 분말                 오) 백색 가공 음이온 분말

 

 

아래 그림은 입자가 큰 분말로 무리하게 생산된 원사의 단면과 나노화된 입자를 적용한 원사의 단면을 SEM으로 측정한

것이다. 무리하게 생산된 원사는 인장 강도도 약하여 경사로를 적용이불가능할 정도이지만 나노화된 입자를 적용한 원사

는 일반 원사와 물리적 특성이 차이가 없을 정도로 우수하다. 나노화된 입자는 통상적으로 75/72 Denier 기준으로 3~4wt%

까지 첨가가 가능하다.

 

 

 

                           왼)무리한 입자 적용                                   오)나노 입자 적용

 

 

                       3wt% 분말일 적용된 원사와 4wt%(가운데) 분말이 적용된 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