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인물열전

김병일 민주평통 사무처장 “통일비용, 후유증 막는 미래 투자”

김병일 민주평통 사무처장 “통일비용, 후유증 막는 미래 투자”

2010.09.15 00:50 입력 / 2010.09.15 10:11 수정

“통일 비용은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차근차근 준비해 후세들이 통일 후유증에 시달리지 않게 하는 보험의 측면도 있습니다.”

김병일(53·사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은 13일 인터뷰에서 “우리 사회가 통일대비 재원마련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민주평통은 최근 통일 비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참여하는 한편, 범국민적 합의 형성을 주도하는 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국 232개 시·군·구 와 해외 101개국에 거주하는 1만7800여 명의 자문위원과 국내외 지역협의회를 총동원한다는 구상이다. 지난 3월 민주평통의 실무책임자로 부임한 김 처장은 이런 활동을 이끌고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제시했던 ‘통일세 논의’에 대해 사회 일각에서 거부감이 있는데.

“서방에서는 비용을 소비와 투자를 합친 개념으로 받아들이지만 우리는 일회성 소모비로 간주한다. 이 때문에 나와 상관없는 북한을 위해 내 돈을 써버린다는 오해가 국민 사이에 있는 게 현실이다. 통일세 논의에 대한 거부감은 이런 배경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한 전국민적 합의 형성에 발벗고 나섰다.”

-‘통일은 현실입니다’라는 민주평통의 케치프레이즈를 휴대전화 통화연결음으로 쓰고 있는데.

“통일은 먼 미래가 아니라 언제든 닥칠 가까운 현실이란 점을 많은 사람과 공유하려는 것이다. 자칫 한반도 통일을 준비 없이 맞고 잘못 관리하면 독일 통일처럼 과다한 비용을 치러야 하거나 남북 예멘의 사례에서 보듯 퇴보적 통일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중앙일보는 창간 45주년 특별기획으로 ‘예산 1% 통일기금 적립’을 제안하는 기사(본지 9월6·8일자 1·4·5면, 9일자 4·5면)를 냈다.

“국민이 실제 통일의 그림을 그려보고 대비하도록 하는 좋은 계기를 만든 것으로 평가한다. 통일비용 논의의 기초를 중앙일보가 마련해 줬다. 우리 평통 조직이 통일비용 논의를 선도하지 못했다는데 아쉬움을 느낀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북한과의 교류에만 치중해 민주평통이 정체성을 잃고 통일 대비를 소홀히 했다는 지적을 많이 들었다. 늦었지만 지금이 가장 이른 시간이라 생각하고 박차를 가하겠다. 통일정책 자문 헌법기구인 우리가 통일비용 문제 논의를 하지않으면 직무유기다.”

- 10월3일이 통독 20주년이다.

“마침 이를 계기로 독일 현지를 방문해 해외 동포들을 상대로 한 통일비용 논의에도 불을 붙일 예정이다. 다음달 15일부터 이틀간 강원도 속초에서 전문가와 각계 인사가 참여하는 ‘통일비용 대토론회’도 연다. 이런 활동을 바탕으로 마련된 민주평통의 독자적 정책건의안을 11월24일 상임위에서 의장인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할 계획이다.”

◆김 사무처장=충북 청원 출신으로 연세대 정외과를 졸업했으며 행정고시 22회에 합격했다. 서울시 경쟁력강화본부장과 대변인을 지냈다. 대통령직 인수위 전문위원과 여수엑스포조직위 사무총장을 거쳐 민주평통에서 통일 문제를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