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자금부 양대 산맥 구축…한국 싱크탱크의 산실
[한국의 新人脈] <3부> 관료사회를 파헤친다 5. '경제 디자이너' 한국은행
조사-이성태·정규영 등 대표적
자금-이경재·박철 등 인맥 화려
초창기 영입파·관료출신 파벌서 공채출신 늘어나며 색깔 옅어져
2000년 전후 외부행렬 이어져 금융硏·KDI·대학등 곳곳 포진
한국은행은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피(금융)와 뼈대(거시경제)의 큰그림을 그리는 집합소다. 그들의 두뇌는 국내 어떤 집단보다 출중하고 거시를 보는 안목만 놓고 본다면 관료보다도 나을 때가 많다. 한은을 '한국경제의 디자이너'라고 불려도 무방한 이유가 이 때문이다.
초창기 시절 한은은 공채 출신의 정통파와 외부에서 수혈된 영입파, 관료 출신 등 여러 파벌이 존재했다. 하지만 갈수록 한은 공채 출신으로 인력이 채워지면서 파벌의 색깔은 옅어졌다.
대신 한은 내부에서 조사부와 자금부 등 양대 라인이 형성됐다. 지난 1990년대 말 자금부가 없어지고 정책기획국과 금융시장국이 신설돼 양대 인맥의 모습이 많이 희석됐다지만 '두 산맥' 을 중심으로 형성돼온 인맥의 그림자는 여전하다
2000년 전후 외부행렬 이어져 금융硏·KDI·대학등 곳곳 포진
한국은행은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피(금융)와 뼈대(거시경제)의 큰그림을 그리는 집합소다. 그들의 두뇌는 국내 어떤 집단보다 출중하고 거시를 보는 안목만 놓고 본다면 관료보다도 나을 때가 많다. 한은을 '한국경제의 디자이너'라고 불려도 무방한 이유가 이 때문이다.
초창기 시절 한은은 공채 출신의 정통파와 외부에서 수혈된 영입파, 관료 출신 등 여러 파벌이 존재했다. 하지만 갈수록 한은 공채 출신으로 인력이 채워지면서 파벌의 색깔은 옅어졌다.
대신 한은 내부에서 조사부와 자금부 등 양대 라인이 형성됐다. 지난 1990년대 말 자금부가 없어지고 정책기획국과 금융시장국이 신설돼 양대 인맥의 모습이 많이 희석됐다지만 '두 산맥' 을 중심으로 형성돼온 인맥의 그림자는 여전하다
◇조사-자금부, 한은 전통적인 핵심 라인
조사부ㆍ자금부라는 명칭이 없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한은 고위임원들을 중심으로 인맥이 나눠져 있다.
먼저 한은 조사국은 핵심 브레인이자 승진 코스다. 한은이 중앙은행으로서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연구조사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엘리트 중의 엘리트들을 뽑아 구성한다. 한은 내에서도 누구나 선망하는 부서다. 그러다 보니 조사부 출신으로서의 자부심과 끈끈한 동지애가 서로를 묶어주는 끈이 된다.
조사부 출신의 대표적 인물은 이성태 전 총재다. 이후 정규영 전 서울외국환중개 사장이 조사국장 출신이고 이주열 현 부총재가 조사국 수장의 바통을 이어받았다. 조사와 국제 등 핵심 업무를 담당하는 임원인 김재천 부총재보 역시 조사국장 출신이다.
자금부는 정책기획국ㆍ금융시장국 등으로 업무가 분화되기는 했으나 화려한 인맥을 자랑한다. 최근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자금부 출신 인물로는 이경재 현 KB금융그룹 이사회 의장과 리딩투자증권 회장인 박철 전 부총재를 꼽을 수 있다. 이 의장의 경우 이정재 전 금융감독원장, 이명재 전 검찰총장, 이병재 우리파이낸셜 사장 등 '똑똑한 4형제'의 맏형이기도 하다. 이 전 원장 역시 초창기 한은에서 출발했다.
현재 임원 중에서는 장병화 부총재보가 자금부 출신이며 이상우 국장과 더불어 발탁 인사로 금융시장국을 맡은 민성기 국장이 자금부 라인을 이어가고 있다.
이외에 국제국이 외화자금과 환율정책 집행 등을 담당하면서 인맥의 또 다른 축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까지 국제국 라인의 '맏형'이었던 이광주 전 부총재보는 퇴임 이후 현재 연세대 특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조사ㆍ자금ㆍ국제가 과거부터 내려온 한은 인맥의 줄기였다면 최근에는 총무국 출신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8월 정기인사에서 공석이었던 임원(부총재보) 자리를 박원식 전 총무국장이 꿰찼다. 전임 총무국장이었던 장세근 국장 역시 경쟁자들을 제치고 임원으로 승진했다. 그에 앞서 지난 4월 금융결제원장으로 자리를 옮긴 송창헌 전 부총재보도 총무국장 출신으로 총무담당 임원을 거쳤다. 송 원장은 김금래 한나라당 의원의 남편이기도 하다.
반면 학연이나 지연의 영향력은 다른 조직에 비해 약한 편이다. 서울대 출신, 그중에서도 경제학과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를 연세대ㆍ고려대 출신들이 채우고 있다. 한은의 한 고위관계자는 "소수의 대학 출신들만 있기 때문에 이른바 도전세력이 없다고도 볼 수 있다"며 "요컨대 한은 내부에서는 10대1 경쟁이 아니라 1대1 경쟁이 일어나고 있어 생산적인 경쟁이 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싱크탱크의 산실
먼저 한은 조사국은 핵심 브레인이자 승진 코스다. 한은이 중앙은행으로서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연구조사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엘리트 중의 엘리트들을 뽑아 구성한다. 한은 내에서도 누구나 선망하는 부서다. 그러다 보니 조사부 출신으로서의 자부심과 끈끈한 동지애가 서로를 묶어주는 끈이 된다.
조사부 출신의 대표적 인물은 이성태 전 총재다. 이후 정규영 전 서울외국환중개 사장이 조사국장 출신이고 이주열 현 부총재가 조사국 수장의 바통을 이어받았다. 조사와 국제 등 핵심 업무를 담당하는 임원인 김재천 부총재보 역시 조사국장 출신이다.
자금부는 정책기획국ㆍ금융시장국 등으로 업무가 분화되기는 했으나 화려한 인맥을 자랑한다. 최근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자금부 출신 인물로는 이경재 현 KB금융그룹 이사회 의장과 리딩투자증권 회장인 박철 전 부총재를 꼽을 수 있다. 이 의장의 경우 이정재 전 금융감독원장, 이명재 전 검찰총장, 이병재 우리파이낸셜 사장 등 '똑똑한 4형제'의 맏형이기도 하다. 이 전 원장 역시 초창기 한은에서 출발했다.
현재 임원 중에서는 장병화 부총재보가 자금부 출신이며 이상우 국장과 더불어 발탁 인사로 금융시장국을 맡은 민성기 국장이 자금부 라인을 이어가고 있다.
이외에 국제국이 외화자금과 환율정책 집행 등을 담당하면서 인맥의 또 다른 축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까지 국제국 라인의 '맏형'이었던 이광주 전 부총재보는 퇴임 이후 현재 연세대 특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조사ㆍ자금ㆍ국제가 과거부터 내려온 한은 인맥의 줄기였다면 최근에는 총무국 출신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8월 정기인사에서 공석이었던 임원(부총재보) 자리를 박원식 전 총무국장이 꿰찼다. 전임 총무국장이었던 장세근 국장 역시 경쟁자들을 제치고 임원으로 승진했다. 그에 앞서 지난 4월 금융결제원장으로 자리를 옮긴 송창헌 전 부총재보도 총무국장 출신으로 총무담당 임원을 거쳤다. 송 원장은 김금래 한나라당 의원의 남편이기도 하다.
반면 학연이나 지연의 영향력은 다른 조직에 비해 약한 편이다. 서울대 출신, 그중에서도 경제학과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를 연세대ㆍ고려대 출신들이 채우고 있다. 한은의 한 고위관계자는 "소수의 대학 출신들만 있기 때문에 이른바 도전세력이 없다고도 볼 수 있다"며 "요컨대 한은 내부에서는 10대1 경쟁이 아니라 1대1 경쟁이 일어나고 있어 생산적인 경쟁이 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싱크탱크의 산실
엘리트 경제학도들이 몰리다 보니 한은 출신의 경제학자들도 국내외에서 활약 중이다. 이들은 입행 이후 유학을 다녀와 대개 30대 중후반을 전후해 외부 연구 조직 및 대학으로 진출했다. 은행감독원이 분리되던 2000년을 전후해 다수가 한은 둥지를 떠났으며 이후에도 외부행은 매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장 많은 인력이 자리한 곳은 금융연구원이다. 박재하 전 부원장, 장민 거시경제실장, 이병윤 연구위원, 이윤석 박사가 한은 출신 연구원들이며 지난해에도 박성욱ㆍ임형석 박사가 합류하는 등 현재 9명의 한은 출신 인력이 재직해 있다.
KDI 역시 한은과의 연이 끈끈하다. KDI의 김현욱 박사를 비롯해 전홍택 박사 등이 한은 출신이다. 또 KDI국제대학원의 손욱ㆍ이진수 교수도 한은에 몸담았던 적이 있다. 조세연구원의 박형수 박사도 한은맨 출신이다.
한은 출신 경제학자들은 각 대학으로도 뻗어나가 있다. 최용석 경희대 교수, 송준혁 외대 교수, 하준경 한양대 교수, 강경훈 동국대 교수, 한재준 인하대 교수 등이 그들이다.
이외에도 IMF와 월드뱅크에도 전직 한은맨들이 포진해 있다.
한은 출신의 한 연구소 위원은 "한은의 관료적인 분위기에 답답함을 느끼거나 본격적인 연구에 뛰어들기 위해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한은 출신들이 각지에 뻗어나가 활발한 연구를 펼치는 것은 한은에 큰 우군이 된다"고 말했다.
가장 많은 인력이 자리한 곳은 금융연구원이다. 박재하 전 부원장, 장민 거시경제실장, 이병윤 연구위원, 이윤석 박사가 한은 출신 연구원들이며 지난해에도 박성욱ㆍ임형석 박사가 합류하는 등 현재 9명의 한은 출신 인력이 재직해 있다.
KDI 역시 한은과의 연이 끈끈하다. KDI의 김현욱 박사를 비롯해 전홍택 박사 등이 한은 출신이다. 또 KDI국제대학원의 손욱ㆍ이진수 교수도 한은에 몸담았던 적이 있다. 조세연구원의 박형수 박사도 한은맨 출신이다.
한은 출신 경제학자들은 각 대학으로도 뻗어나가 있다. 최용석 경희대 교수, 송준혁 외대 교수, 하준경 한양대 교수, 강경훈 동국대 교수, 한재준 인하대 교수 등이 그들이다.
이외에도 IMF와 월드뱅크에도 전직 한은맨들이 포진해 있다.
한은 출신의 한 연구소 위원은 "한은의 관료적인 분위기에 답답함을 느끼거나 본격적인 연구에 뛰어들기 위해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한은 출신들이 각지에 뻗어나가 활발한 연구를 펼치는 것은 한은에 큰 우군이 된다"고 말했다.
역대 금통위원들은 인맥 형성보단 '경제계 어른'으로 활약
[한국의 新人脈] <3부> 관료사회를 파헤친다 5. '경제 디자이너' 한국은행
어윤대·김종창·이덕훈 등 금융·학계등서 활발한 활동
금융통화위원회는 대한민국 통화정책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이자 경제의 핏줄이라 할 수 있는 금융의 흐름을 결정하는 심장부다. 이 때문에 금통위원은 사회적으로 명망과 학식을 갖춘 인물들이 임명되며 임명 자체만으로도 '가문의 영광'이다.
그래서 금통위원들은 그들 간의 끈끈한 인맥을 형성하기보다 각자의 삶에서 형성된 인맥을 바탕으로 보폭을 넓혀가는 것이 통례다. 하지만 역대 금통위원을 거쳐간 사람들의 삶의 궤적을 보면 금융과 학계 등에서 경제계의 '어른'으로 활약하고 있다. 그들 한 명 한 명이 대한민국 경제의 수레바퀴를 이끌어가는 동시에 나름의 인맥을 구축하고 있는 셈이다.
◇활발한 활동 펼치는 민간 출신 금통위원
그래서 금통위원들은 그들 간의 끈끈한 인맥을 형성하기보다 각자의 삶에서 형성된 인맥을 바탕으로 보폭을 넓혀가는 것이 통례다. 하지만 역대 금통위원을 거쳐간 사람들의 삶의 궤적을 보면 금융과 학계 등에서 경제계의 '어른'으로 활약하고 있다. 그들 한 명 한 명이 대한민국 경제의 수레바퀴를 이끌어가는 동시에 나름의 인맥을 구축하고 있는 셈이다.
◇활발한 활동 펼치는 민간 출신 금통위원
역대 금통위원들을 보면 크게 학계, 금융계(한국은행 포함), 관료 출신 등으로 삼분할 수 있다. 지난 1998년 이후 금통위원 31명의 출신을 보면 관료 10명, 금융인 11명, 교수 10명 등 약 3분의1씩 나눠져 있다. 이는 금통위원이 한은ㆍ정부ㆍ대한상공회의소ㆍ은행연합회 추천 등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출신 배경이 안배돼 있는 것. 이 점도 금통위 인맥이 느슨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작용한다.
그러나 금통위원을 거쳐간 금융계ㆍ학계 등 민간 출신 금통위원들은 여전히 활발한 행보를 펼치고 있다. 어윤대 KB지주 회장의 경우 1992년 금융기관 선출위원으로 금통위원을 3년간 지냈다. 이후 고려대 총장 등을 지냈으며 최근에는 국내 최대 은행의 수장이 됐다
그러나 금통위원을 거쳐간 금융계ㆍ학계 등 민간 출신 금통위원들은 여전히 활발한 행보를 펼치고 있다. 어윤대 KB지주 회장의 경우 1992년 금융기관 선출위원으로 금통위원을 3년간 지냈다. 이후 고려대 총장 등을 지냈으며 최근에는 국내 최대 은행의 수장이 됐다
정치권으로 진출한 사례도 있다. 2004~2008년 금통위 멤버였던 이성남 위원은 씨티은행ㆍ금융감독원 등을 거친 후 첫 여성 금통위원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후 민주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 금융 전문가로서 왕성한 의정활동을 벌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 금통위원들도 눈에 띈다. 2004~2008년 금통위원을 지낸 이덕훈 전 우리은행장과 강문수 전 금통위원은 1980년대부터 KDI에서 연구활동을 해온'KDI맨'이다.
교수 출신 금통위원들도 1998년 금통위원이 상근직으로 전환된 후 새로 입성한 직업군이다.
특히 서강대를 고리로 금통위원을 거쳐간 이들이 관심을 끈다. 김병주 서강대 명예교수와 최운열 교수가 대표적 예이고 1990년대에는 김광두 교수가 금통위원을 지냈다. 이덕훈 전 위원도 서강대 경제학과 출신이다.
◇명예와 경력, 관료들에게 명예와 경력 관리장소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 금통위원들도 눈에 띈다. 2004~2008년 금통위원을 지낸 이덕훈 전 우리은행장과 강문수 전 금통위원은 1980년대부터 KDI에서 연구활동을 해온'KDI맨'이다.
교수 출신 금통위원들도 1998년 금통위원이 상근직으로 전환된 후 새로 입성한 직업군이다.
특히 서강대를 고리로 금통위원을 거쳐간 이들이 관심을 끈다. 김병주 서강대 명예교수와 최운열 교수가 대표적 예이고 1990년대에는 김광두 교수가 금통위원을 지냈다. 이덕훈 전 위원도 서강대 경제학과 출신이다.
◇명예와 경력, 관료들에게 명예와 경력 관리장소
고위 관료들에게 차관급인 금통위원은 누구나 한번 가보고 싶어하는 자리다. 장ㆍ차관 등 고위직을 두루 섭렵한 후 마지막 거치는 명예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를 통해 화려하게 부활하는 사람들도 많다. 청와대 정책실장을 거친 뒤 금통위원을 역임한 박봉흠 전 위원은 총리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고 김병일 전 기획예산처 장관은 차관 이후 금통위원을 거쳐 2003년 장관으로 갔다. 강영주 위원이 임기를 2년 정도 남기고 2002년 증권거래소이사장으로 옮겨갔으며 장승우 위원도 임기 중 기획예산처 장관으로 임명됐다. 김종창 금감원장 역시 비상근 시절 금통위 멤버 출신이다.
금통위원 출신들은 공식적으로는 1년에 한번 연말에 '금통위 간친회'를 갖는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금통위를 통해 새로운 인맥이 형성되기보다 이미 금통위원 이전에 형성된 인맥을 바탕으로 친분이 강화되는 정도"라고 말했다.
금통위원 출신들은 공식적으로는 1년에 한번 연말에 '금통위 간친회'를 갖는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금통위를 통해 새로운 인맥이 형성되기보다 이미 금통위원 이전에 형성된 인맥을 바탕으로 친분이 강화되는 정도"라고 말했다.
'인간관계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교육과학기술부 (서울경제 2010/09/28 02:20:20) (0) | 2010.09.28 |
---|---|
6. 협상의 산실, 통상교섭본부 (서울경제 2010/09/28 02:08:58) (0) | 2010.09.28 |
<3부> 관료사회를 파헤친다 4. `컬러풀` 지식경제부 (서울경제 2010/09/28 01:51:26) (0) | 2010.09.28 |
경제개발 주도하며 화려한 등장…(서울경제 서울경제 | 2010/08/24 16:45) (0) | 2010.09.28 |
경제개발 주도하며 화려한 등장…참여정부 때 `제2전성기` (0) | 201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