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기간 종전 12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리튬추출공장 국외 건설 추진
포스코가 리튬 생산기간을 1개월 내로 단축하는 직접 추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염수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방식이다.
포스코 산하 연구기관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은 23일 경북 포항에서 볼리비아 리튬자원 관련 주무부처장인 에차수(Luis Alberto Echazu) 증발자원국장과 이상득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술개발설명회를 열었다.
RIST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리튬 생산기간을 현재 12개월에서 1개월 이내로 단축한 획기적인 기술이다. 종전에는 리튬이 고농도로 함유된 염수를 자연 증발하는 방식으로 추출해 생산기간이 12개월이나 걸렸다. 또 염수에 함유된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이 불순물 형태로 남아 재정제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로는 1개월이면 추출이 가능하다. 또 리튬 회수율도 종전 최대 50%에서 80% 이상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고 포스코 측은 설명했다.
또 기존에는 염수에 함유돼 있는 마그네슘과 칼슘 등이 불순물 형태로 남아 리튬 추출에 걸림돌이 됐으나 이번 신기술은 이들 성분도 동시에 분리 추출할 수 있어 여러 고부가가치 원소를 동시에 자원화할 수 있게 됐다.
RIST는 지난해 7월 준공한 파일럿 플랜트에서 하루 1000ℓ의 염수로 리튬 5㎏을 제조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리튬 추출 관련 주요 기술 30여 건을 국내.외에 특허 출원해 지적재산권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염수를 보유한 리튬 생산업체들과 협력해 리튬 추출공장의 해외 건설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에차수 국장은 이날 포스코의 신기술을 활용한 공동사업 추진을 제안하기도 했다.
리튬은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와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필수소재로, 포스코는 리튬전지 시장 확대로 향후 폭발적인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2010년부터 연구.개발(R&D)에 적극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리튬전지 생산국으로 연간 약 1만2000t 리튬을 사용하고 있으나 칠레와 아르헨티나 등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다.
특히 포스코는 한국광물자원공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세계 최대 리튬 매장량(540만t)을 보유한 볼리비아와 리튬 배터리 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볼리비아 리튬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외 현지에서 리튬을 생산해 국내에 공급할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리튬의 수입대체 효과와 수급안정 등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1년이나 걸리던 리튬 추출 포스코, 한달이내로 줄였다 염수에서 직접 추출…해외공장 건설도 추진 | |||
기사입력 2012.02.23 17:09:31 | 최종수정 2012.02.23 19:40:39 포스코가 리튬 생산기간을 1개월 내로 단축하는 직접 추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염수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방식이다. 기사입력 2012.02.23 17:10:15 | 최종수정 2012.02.23 17:27:21 볼리비아 유우니 리튬광 |
'국방 > 자원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청난 자원 품은 바다는 ‘보물 창고’랍니다 (동아일보 2012-08-02 03:00:00) (0) | 2012.08.03 |
---|---|
中희토류 국제갈등 확산…팽팽한 맞서기 (연합뉴스 2012/03/13 22:27) (0) | 2012.03.13 |
한반도만한 바닷속 보물섬… (조선일보 2012.02.14 17:31) (0) | 2012.02.15 |
‘금값’ 희토류, 태평양 해저 900억t 발견 (한겨레 20110704 20:30) (0) | 2011.07.06 |
홍천 희토류 광맥 발견, 지역경제 파급효과 관심 (뉴시스 [2011-07-05 13:42:09] (0) | 201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