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인물열전

서시 [西施, ?~?]

서시 [西施, ?~?]
나무꾼의 딸로 저라산() 자락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며 자세한 성장배경은 알려진 것이 없다. 평범한 집안에서 출생하였지만 뛰어난 미모를 타고났기에 많은 남자들이 그녀에게 연정을 품었다고 전한다. 그녀가 살았던 마을에서 절세의 미녀로 소문이 나같은 마을에 사는 여자들은 무엇이든 서시의 흉내를 내면 아름답게 보일 것이라 생각했고 지병으로 앓던 심장병의 통증으로 찡그리는 서시의 얼굴까지 흉내를 냈다고 한다.
눈살을 찌푸린다는 의미의 서시효빈(西), 서시빈목(西) 서시가 가슴앓이를 한다는 의미의 서시봉심(西)이라는 말도 이러한 정황에서 유래되었다. 모두 본질을 망각하고 맹목적으로 남을 따라한다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오()나라에 패망한 월왕() 구천()의 충신인 범려(蠡)가 서시를 데려다가, 호색가인 오왕() 부차()에게 바치고, 서시의 미색에 빠져 정치를 태만하게 한 부차를 마침내 멸망시켰다고도 전해지고 있다. 오나라가 멸망하고 부차에 대한 죄책감으로 강에 빠져자살했다고도 하며자신을요부로 훈련시킨 범려와 함께 제나라로가 그곳에서 장사를 통해 큰 재물을 모았다고도 전해진다.

초선(貂蟬)은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삼국지연의》에서 왕윤의 수양딸로 등장해 동탁여포 사이를 이간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여포가 동탁의 시녀와 염문을 가졌다는 정사의 기록과 왕윤이 여포를 부추겨 동탁을 죽이게 했다는 사실을 연의에서 각색한 것이다.

‘초선(貂蟬)’이란 이름은 한자 그대로 담비매미를 뜻하는 별칭일 가능성이 높다.

목차

초선

초선(貂蟬)은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삼국지연의》 이전의 초선 [편집]

초선은 《삼국지연의》에 처음 등장하는 인물이 아니며, 그 이전에도 다른 작품에서 등장하였다.

  • 원나라 때의 잡극인 《연환계》에서 초선은 흔주 목이촌 임앙의 딸인 임홍창(林紅昌)으로 영제 때 궁녀로 선발되었다가 정건양(丁建陽 = 정원.)에게 하사되었다고 나온다. 그때 여포를 만나 그 아내가 되었고,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 헤어졌다가 나중에 왕윤으로 말미암아 여포와 재회한다. 또한 이 잡극에서는 초선의 뜻을 “담비의 꼬리와 매미의 날개”라고 풀고 있다.
  • 원나라 때의 소설인 《삼국지평화》에서 초선은 본래 임씨이고, 어릴 때의 이름이 초선이며, 남편은 여포라고 하였다. 임조부에 있을 때부터 여포와 떨어지게 되었다고 나온다. 이 소설에서는 왕윤동탁을 청해 초선을 바치겠다고 한 뒤 여포를 초대하여 부부를 만나게 하여 갈등을 일으킨다.

대체로 《삼국지연의》 이전의 작품에서는 초선은 동탁이나 왕윤을 만나기 이전부터 이미 여포의 아내였다는 설정이 주류를 이룬다.

《삼국지연의》의 초선 [편집]

초선과 관련하여 《삼국지연의》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 사도(司徒) 왕윤(王允)의 가기이다. 일설에는 양녀라고도 한다. 동탁(童卓)이 폭정을 잡을 당시 왕윤은 조조(曹操)에게 칠성검(七星劍)을 주며 동탁 암살을 꾀했지만 실패를 하였고, 초선의 제의로, 또는 왕윤의 명으로 동탁과 여포(呂布)를 이간질시키는 연환계를 펼쳐 동탁을 죽인다.

이 《삼국지연의》에 나타나는 초선의 모습은 크게 두 모습인데, 하나는 대의명분을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충의지사이며, 다른 하나는 남편의 앞길을 가로막는 여인(또는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치는 남편의 아내)라는 모습이다. 삼국지 연의에서 초선은 여포와 정을 통한 동탁의 개인 시녀를 기본 베이스로 만들어진 인물로 나관중은 이 여인에게 초선이라는 이름을 부여한 후 동탁의 시녀가 아닌 왕윤의 양녀로 묘사했다.

충의지사 [편집]

충의지사인 초선의 모습에는 유약한 여인이 모습과 마음이 강직한 지사의 모습을 함께 가지고 있다.

  • 왕윤이 동탁을 제거하지 못해 애를 태울 때 “소용이 된다면 만 번 죽어도 사양하지 않겠다”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 왕윤이 초선의 말에 답하자 초선은 다시 말하기를 “어찌 대감의 일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 하겠느냐?”라는 요지의 말을 한다.
  • 동탁이 죽은 뒤 여포가 미오성을 공격하고 초선을 찾기에 혈안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삼국지연의》에서 이윤이 여포한테 작은칼로 던져 맞출려 죽이려 했으나, 결국 초선이 죽었다고 한다.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 [편집]

초선은 그 뒤 남편의 대사를 그르치는 여인으로 등장하는데, 이에 대해 초선보다는 여포가 여자의 치마폭에 싸여 대사를 그르치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문학적 장치라고 해석하는 사람이 많다. 한편으로는 초선이 실존 인물이 아니기에 서로 상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보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초선은 철저히 연약하고 이기적인 여자로서 그려진다. 이 때문에 일부 삼국지의 저자들은 이 부분의 초선이 여포가 동탁을 죽일 무렵에 등장한 초선과 별개의 인물이며 '가짜 초선'이라고 묘사하기까지도 한다.[1]

  • 여포조조의 공격을 받고 성에 고립되었을 때 성을 사수할 것을 고집하자, 진궁이 나서서 고립되면 더욱 위험하니 성밖에 나가서 지친 조조군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일을 여포가 엄씨와 초선에게 말하자, 초선이 “우리를 버리고 함부로 군사를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라고 애원한다.

다른 작품의 초선 [편집]

초선은 가상 인물이기 때문에 여러 작품과 야사에서 새롭게 다루어지고 있다.

  • 동탁이 죽은 직후, 곧바로 자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때문에 연의에서는 초선이라는 이름도, 외모도 똑같은 다른 여인을 여포의 부인으로 다시 나타나게 해야만 했다.
  • 여포 사후, 비구니가 되었다가 이전에 본 조운(趙雲)에게 반하여 조운을 끝까지 모셨다는 얘기도 있다.
  • 조운을 처음 봤을 때 서로 반했다.

역사 속의 초선 [편집]

정사 《삼국지》에는 초선이라는 이름은 나오지 않고, 그저 동탁의 “시비”라고만 하고 있다.

  • 원문: 布與卓侍婢私通
  • 해석: 여포가 (동탁의) 시비와 사사로이 정을 통했다.

원래 초선이라는 이름 역시 각색된(나관중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것이고 그 본명을 아는 이는 아무도 없다. 실존하긴 실존했지만 초선이라는 이름만은 허구다.

김운회 교수는 동탁의 시비를 “초선”이라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이 정사 《삼국지》와 다른 작품을 비교하여 해석했다.

  1. 초선의 직업은 아마도 이전 영제의 일반 궁녀였을 것이다. 《연환계》의 해석을 바탕으로 고관대작의 관을 관리했으리라 추측했다(담비의 꼬리와 매미의 날개는 “관(冠)”을 장식하는 물건이다).
  2. 초선의 미모는 아름답지만, 중국의 4대 미인에 들 만큼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초선은 황제가 바뀐 뒤에도 궁에 남았으므로 후궁은 아닌 일반 궁녀였고, 이를 바탕으로 썩 아름답다고는 말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초선을 표현하는 말이었던 “달이 부끄러워 얼굴을 가릴” 만큼 아름답지는 않았다. 또한 유목민족이었던 여포는 전장에 오래 있었고, 유목 민족은 미모보다는 건강을 먼저 보므로 더욱 미모와는 관련이 없었으리라 보았다. 뒤에 다시 설명하기를 미인계가 유목민족인 여포에게는 그다지 유효한 책략이 아니었음을 밝히고 있다.
  3. 초선은 《삼국지연의》에 나타난 모습처럼 유약하지는 않았다고 보았다. 동탁 소유의 시비가 다른 남자와 정을 통한 일을 “죽을죄”라고 하면서, 죽음을 무릅쓰고 여포와 사랑한 정열적인 여인으로 해석했다. 이는 여포도 마찬가지로 서로 목숨 걸고 사랑한 사이라고 보았다.
  4. 초선은 동탁과는 정을 통하지 않았으리라 여겼다. 동탁의 애첩이었다면 수많은 감시자가 따라붙었을 테고, 그것까지 피해서 여포와 정을 통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판단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김운회, 《김운회 교수의 삼국지 바로 읽기》 1/2, 삼인(서울: 2004년 12월 10일).

외부 링크 [편집]

Commons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주석 [편집]

  1. 고우영의 삼국지에는 왕윤의 양녀와 얼굴과 이름이 같은 가짜 초선이라고 묘사된다.

양귀비 (당나라)

시안 시 근교 화청지 안의 양귀비 석상

양귀비(楊貴妃, 719년 ~ 756년)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다. 성은 양(楊), 이름은 옥환(玉環)이며, 귀비는 황비로 순위를 나타내는 칭호이다. 현종 황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정도가 지나쳐 안사의 난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경국의 미인이라고도 부른다.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과 더불어 중국의 4대 미인 중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생애 [편집]

에도시대 호소다 에이시가 그린 양귀비

출생 [편집]

양옥환(楊玉環)은 719당 현종 집권 초기에 쓰촨성 촉주(蜀州)(현재의 두장옌 시)에서 태어나 포주(蒲州)의 영락(永樂)(현재의 산서성 융지 시)에서 자랐다. 그의 고조부인 양왕(楊汪)은 수양제 때의 중신이었다. 수나라의 멸망 이후 정나라왕세충을 모시고 살았다. 621년 당나라에 의해 왕세충이 패배할 때 양왕도 죽음을 당했다. 양왕은 원래 산서성 화현(지금의 웨이난 시) 출신이었는데, 그의 일가는 용락(지금의 윈청 시)에 이주를 해서 자리를 잡았다.

양옥환의 아버지 양현염(楊玄琰)은 촉주(蜀州)의 호구를 조사하는 하급관리였으며, 그의 가족은 그와 함께 그곳으로 이사를 했다. 그는 아들은 가지지 못했으며, 양옥환과 그의 세 언니를 낳았다. 양현염은 양옥환이 어렸을 때 죽었으며, 그로 인해 양옥환은 하남성 낙양에서 하급 관리를 하던 그의 삼촌인 양현교(楊玄璬)의 손에서 자랐다.

입궁과 수도 [편집]

733년 개원 23년 양옥환은 16세의 나이로 무혜비(武惠妃)의 아들인 제18왕자 이모(李瑁)와 결혼을 했다. 이모는 무혜비와 이임보(李林甫)의 후원으로 황태자에 추천되었고, 무혜비의 사망 이후 다음 해 환관 고력사의 추천으로 이여(李璵)가 황태자에 책봉된다.

740년 뛰어난 시와 노래에 능한 예술가였던 그녀는 환관 고력사의 소개로 만난 현종의 눈에 들게 된다. 현종은 그녀를 화산의 도사로 출가시켜 아들인 수왕(이모)에게서 빼내고, 궁안의 도교사원 태진궁(太眞宮)을 짓고 다시 이곳을 관리하는 여관(女冠)으로 불러 들인다. 이때 양귀비의 나이 22세, 현종은 57세였다.

745년 양옥환이 27세에 귀비가 되면서, 당나라는 서서히 끝자락을 달리게 된다. 당 현종 초기에는 개원의 치를 이룩할 정도로 어진 정치를 하였지만, 양귀비의 등장이후 양귀비 일가의 전횡이 시작되면서, 당나라는 점점 힘을 잃게 된다. 양귀비의 세 오빠에게 모두 높은 벼슬을 주었고, 세명의 언니들 모두를 국부인에 책명할 정도로 그녀를 총애하였다. 그 중 양귀비의 사촌 오빠인 양소는 현종에게 '국충'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승상의 지위에까지 올라 국정을 전횡한 인물로 환관 고력사와 담합하여 당 현종을 정치에서 관심을 멀어지게 한다.

안사의 난과 최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안사의 난입니다.

747년 절도사 안녹산이 등장하여, 양귀비는 그와 친해지게 된다. 새로운 권력자의 등장에 위기를 느낀 양국충은 견제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안사의 난이 일어나 당나라가 멸망하는 원인이 된다.

756년 지덕 원년 가서한은 안녹산에게 대패하면서 잡혔고, 동관도 함락 되었다. 현종은 수도 장안을 빠져 나가, 촉(쓰촨성)으로 피난을 가게 되었고, 양귀비, 양국충, 고력사, 이형(李亨) 등도 동행을 했다.

756년 7월 15일 섬서성 마외(馬嵬)에 이르러, 전란의 원인이 된 양국충을 증오하던 진현례(陳玄禮)와 병사들은 양국충과 한국 부인들을 살해했다. 게다가 진현례 등은 현종에게 ‘도적의 근본’인 양귀비를 죽일 것을 요구했다. 현종은 ‘양귀비는 심궁에 있었고, 양국충의 모반과는 관계가 없다’고 감쌌지만, 고력사의 진언에 의해 부득이 양귀비에게 자살을 명할 수 밖에 없었다. 고력사에 의해서 양귀비는 목매달아 죽었다.

현종은 그녀를 안장하고, 장안에 돌아간 후 이장을 명했지만, 예부시랑 이규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러나 현종은 내시에게 은밀히 이장을 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