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
비밀경찰 두목 베리아가 고의로 치료 방해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은 아마도 순환기 계통에 문제가 많은 체질을 타고 난 듯하다. 김정일은 자신을 '난쟁이 똥자루'라고 불렀다. 독재자는 충고가 먹히지 않아 건강 유지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출근 시간을 의식하지 않는 독재자는 또 늦잠을 자는 경우가 많다. 이 또한 건강을 해친다. 결정적 순간에 독재자는 방치되는 수가 있다. 북한 전문가들과 탈북자 사이에선 김정일이 김일성을 죽였다는 이야기가 오래 전부터 떠 돌았다. 1994년 7월 김영삼(金泳三)-김일성 회담을 앞두고 부자간에 갈등이 깊어졌다는 것이다. 김일성은 북한주민들의 참상을 비로소 알고는 아들을 불신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김일성이 묘향산에서 회담 준비를 지휘하던 중 심장마비를 일으켰을 때 응급조치가 늦은 것도 김정일이 함정을 팠기 때문이라고 한다. 의사를 태운 헬리콥터가 평양에서 묘향산으로 가던 중 추락한 사건도 음모로 본다. 황장엽 선생은 이런 음모설을 부정하였다.
1953년 3월5일에 죽은 스탈린을 둘러싼 미스터리도 많다. 비밀경찰 총수 베리아가 독살하였다는 說은 상당한 근거가 있다. 스탈린은 5일간 의사의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거의 방치된 상태에서 극심한 고통을 치르면서 죽어갔다. 2월28일 스탈린은 측근들과 함께 크렘린 宮에서 영화를 보았다. 그 뒤 모스크바에서 차로 10분 거리인 자신의 별장으로 옮겨 다음날 새벽 4시까지 먹고 마셨다. 베리아, 말렌코프, 불가닌, 흐루시초프가 동석하였다. 흐루시초프 회고록에 의하면 헤어질 때 스탈린은 매우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 흐루시초프의 배를 쿡쿡 찌르면서 장난도 쳤다는 것이다. 스탈린은 늦잠을 자도 오전 10시에 일어나서 경호원을 부르곤 하였다. 그날은 일요일이었는데 오후가 되어도 기척이 없었다. 경호원들은 부르지 않으면 내실로 들어갈 수 없었다. 저녁 6시30분에 방에서 전등이 켜졌다. 경호원들은 부르기를 기다렸지만 밤10시가 되어도 소식이 없자 겁이 난 경호원이 우편물을 전하는 척하면서 문을 열고 들어갔다. 스탈린은 침대에서 밑으로 떨어진 채 의식을 잃은 상태였다. 부서진 시계는 저녁 6시30분에 멈춰 있었다. 스탈린은 알아들을 수 없는 신음소리를 냈다. 경호원들은 직접 의사를 부를 수 없었다. 당시 스탈린을 담당하던 의사들중 상당수는 붙들려가 '요인 독살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었다. 경호원은 국가안전부로 연락을 하였다. 국가안전부 장관은 책임을 면하려고 "말렌코프와 베리아에게 알려라"고 했다. 말렌코프는 전화를 받았으나 베리아에게 연락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베리아는 여자들과 파티를 벌이고 있었다. 전화를 받은 베리아는 경호원들에게 '아무에게도 이 사실을 알리지 말라'고 하였다. 베리아가 곧 별장에 도착하였다. 스탈린은 그때 코를 골면서 자고 있었다. 베리아는 의사를 부르지 않았다. 그는 술에 취해 있었는데 경호원들에게 "스탈린 동지가 잘 자고 있는 게 보이지 않는가. 모두 여기서 나가! 잠을 방해하지 말아!"라고 명령하였다. 의사가 온 것은 스탈린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시각(오후 6시30분)을 기준으로 하여 12시간 뒤였다. 베리아는 나중에 몰로토프에게 "내가 그를 처치하였어. 내가 당신들 모두를 살린 거야"라고 말하였다('몰로토프 회고록'). 당시 스탈린은 공안기관을 장악한 베리아를 제거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다. 베리아가 너무 강해져 그 자신도 위협을 느낄 지경이었다. 스탈린은 별장에서 의식불명 상태로 5일간을 지냈다. 베리아는 여러 정치국원이 병상을 지키고 있는 자리에서 스탈린에게 험담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스탈린의 의식이 돌아오는 듯하면 달려가 무릎을 꿇고는 스탈린의 손에 키스를 하는 것이었다. 3월3일 의사들은 스탈린의 사망이 시간문제라고 진단하였다. 베리아는 실권자가 된 것처럼 행동하였고 정치국원들도 묵묵히 따랐다. 말렌코프와 베리아는 긴급 정치국 회의를 주도하고, 후임 수상에 말렌코프, 제1부수상에 베리아를 임명하기로 결의하였다. 베리아는 내무부에 대한 통제권도 행사하기로 하였다. 비밀경찰 등 여러 공안기관을 통합조정하는 자리에 오른 것이었다. 스탈린의 죽음을 지켜본 그의 딸은 마지막 순간을 이렇게 묘사하였다. "얼굴 모양이 변하고 검은 색이 되었다. 입술이 검게 되었다. 갑자기 눈을 떴다. 방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훑어보았다. 무서운 눈길이었다. 죽음을 두려워하고, 분노한 눈초리였다. 아버지는 갑자기 손을 올리더니 누군가를 가리키면서 저주하려는 듯하였다. 그러다가 갑자기 숨이 끊어졌다." 이 순간 베리아는 방을 뛰쳐나가면서 운전사를 불렀다. 그 목소리는 환희에 차 있었다. 석 달 뒤 베리아를 거세하게 되는 흐루시초프는 "그의 얼굴은 빛났다"고 기억하였다. 몇년 전 러시아 역사가 에드바드 라진스키는 스탈린이 죽을 때 경호원으로 일했던 사람을 찾아내 인터뷰를 하였다. 경호원 로가체프는 의외의 사실을 털어놓았다. 스탈린이 그날 "내가 부르기 전에는 방에 들어오면 안 된다"고 한 것이 아니고 그런 지시를 내린 이는 수석 경호원 흐루스탈레프였다는 것이다. 라진스키는 베리아의 명령을 받은 흐루스탈레프가 스탈린에게 毒(독) 주사를 놓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베리아는 그래 놓고는 의사들의 응급처치도 고의로 방해한 것이란 주장이었다.
조갑제(趙甲濟) 조갑제닷컴대표 1945년 10월 일본에서 났다가 이듬해 고향인 경북 청송으로 돌아왔다.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산수산대학(현재의 釜慶大)에 들어가 2학년을 마친 뒤 군에 입대, 제대 후 1971년 부산의 국제신보 수습기자로 입사해 언론생활을 시작했다. 문화부, 사회부 기자로 일하면서 경찰, 공해, 석유분야를 다루었는데 1974년 중금속 오염에 대한 추적 보도로 제7회 한국기자상(취재보도부문·한국기자협회 제정)을 받았다.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현장 취재를 했다. 1980년 6월 신문사를 그만둔 뒤 월간잡지 <마당> 편집장을 거쳐 1983년 조선일보에 입사, <月刊朝鮮> 편집장으로 일했다. 저자가 <月刊朝鮮> 편집장으로 활동하던 시절 <月刊朝鮮>은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보도로 1994년 관훈언론상(관훈클럽 제정)을 수상했고 ‘6·29 선언의 진실’ ‘12·12 사건-장군들의 육성 녹음 테이프’ 등 많은 특종을 했다. 1996년부터 1년 간 국제 중견 언론인 연수기관인 하버드대학 부설 니만재단에서 연수를 했다. 2001년 <月刊朝鮮>이 조선일보사에서 分社하면서 (주)月刊朝鮮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지금은 <조갑제닷컴> 대표로 있다. 저서로는 《석유사정 훤히 압시다》 《사형수 오휘웅 이야기》 《有故》 《국가안전기획부》 《軍部》 《이제 우리도 무기를 들자》 《朴正熙 傳記》(全13권) 등을 출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