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막길 ‘해적산업’
소말리아 납치 선박수 급감… EU해군 등 소탕 노력 효과''
(서울신문 2012-09-27)
악명 높았던 소말리아의 해적산업이 국제적인 해적 소탕 노력과 해운사들의 자체 방어력 확보 덕분에 사양길로 접어들었다고 AP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럽연합(EU) 해군은 소말리아 해적이 납치한 선박은 2009년 46척, 2010년 47척에서 2011년 25척으로 급감했으며, 올 상반기에는 5척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재클린 셰리프 EU 해군 대변인은 “소말리아 해적의 급감은 EU와 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 등 국제적인 공조 덕분”이라면서 “EU 해군이 최근 소말리아에 상륙해 해적들의 무기와 배, 연료를 파괴하고, 일본 항공기가 해적들의 동향을 주변 군함에 전달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해운사의 자구노력도 해적 감소의 원인 중 하나다. 아덴만을 통과하는 상선들은 해적을 발견하는 즉시 주변을 순찰하는 해군에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특히 무장 보안요원을 배에 태우거나 배 주위에 철조망을 두르고, 물대포, 대피실 등을 설치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이 때문에 해적들의 선박 납치 성공률이 과거에 비해 낮아지면서 납치 시도 횟수도 줄고 있다. 국제해사기구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해적의 공격 건수는 6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3건에 비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유엔은 현재 1045명의 소말리아 해적들이 미국과 이탈리아 등 21개 국가에 구금돼 있으며, 이보다 많은 숫자가 해양 사고나 기상 악화 등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영국 해상보험사인 로이드의 피터 돕스는 “전체적인 해적의 납치 횟수는 줄고 있지만 반대로 피랍된 선원들의 몸값은 더 올라가는 추세”라면서 “해적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보긴 이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4월 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된 싱가포르 선박 ‘제미니호’의 한국인 선원 4명은 아직도 풀려나지 못한 채 510일 넘게 억류중이다.
'국방 > 해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보식이 만난 사람] 582일만에 풀려난 ‘제미니호’ 박현열 선장 첫 단독 인터뷰 "해적이 '아덴만의 여명작전' 보더니…" (조선일보2013.01.07 10:48) (0) | 2013.01.07 |
---|---|
"애벌레 떠다니는 빗물 먹으면서 짐승처럼…" (세계일보 2012.12.03 09:24:45) (0) | 2012.12.03 |
소말리아 해적, 한국인 선원 4명 500일째 억류 (조선일보 2012.09.11 17:36) (0) | 2012.09.13 |
소말리아, 21년 만에 국내서 대통령 선출 (조선일보 2012.09.12 00:53) (0) | 2012.09.13 |
민망한 뒷북 보도, 9개월 엠바고 이유가 뭐였나 (미디어오늘 2012.09.11 20:09:10)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