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부족 北, 남포해수 평양까지 수송
수송관 공사현황 속속 보도…"효율성 낮아"
북한이 소금 부족으로 평양의 식수 소독에 애로를 겪으면서 남포의 바닷물을 평양까지 끌어오는 수송관 공사에 한창이다.
바닷물을 끌어와서라도 평양 시민에게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겠다는 게 표면적 이유이지만 그리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지난 24일 조선중앙통신이 "평양에서는 바닷물 공급소 펌프장 건축공사가 끝났고 남포에서도 바닷물 침전지 공사가 거의 끝났다"고 전하는 등 북한 매체들은 지난 2월부터 수송관 공사 진척상황을 속속 알리고 있다.
북한 매체들에 따르면 수송관 건설은 인민생활을 향상시키겠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뜻에 따라 시작됐다
바닷물을 끌어와서라도 평양 시민에게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겠다는 게 표면적 이유이지만 그리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지난 24일 조선중앙통신이 "평양에서는 바닷물 공급소 펌프장 건축공사가 끝났고 남포에서도 바닷물 침전지 공사가 거의 끝났다"고 전하는 등 북한 매체들은 지난 2월부터 수송관 공사 진척상황을 속속 알리고 있다.
북한 매체들에 따르면 수송관 건설은 인민생활을 향상시키겠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뜻에 따라 시작됐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소독용 소금의 부족 문제가 있다.
지난 2월 열린 수송관 착공식에서 박병종 평양시 인민위원회 1부위원장이 "장군님께서 소독용 소금이 긴장한(부족한) 조건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독할데 대한 가르침을 주셨다"고 말한 것을 보면 소독용 소금이 부족한 북한의 사정을 짐작할 수 있다.
북한의 소금 생산량 추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별로 없지만 부족한 소금을 외부에서 구입해 충당하는 대신 남포 앞바다의 `바닷물 끌어오기'로 대응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바닷물을 끌어와 식수 소독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리 효율적인 것은 아니라는 게 국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의 이경혁 박사는 29일 "식수 소독에 바닷물을 직접 전기분해해 이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수송관에서 바닷물이 누수될 가능성이나 펌프에 소모되는 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그다지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은 소금과 전력 사정을 고려해 효율적으로 식수를 소독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수년 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007년 3월 "조선 국가과학원에서 소금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하는 음료수 소독액 제조기를 새로 개발했다"며 이 장치가 소금 및 전력 소비가 적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지난 2월 열린 수송관 착공식에서 박병종 평양시 인민위원회 1부위원장이 "장군님께서 소독용 소금이 긴장한(부족한) 조건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독할데 대한 가르침을 주셨다"고 말한 것을 보면 소독용 소금이 부족한 북한의 사정을 짐작할 수 있다.
북한의 소금 생산량 추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별로 없지만 부족한 소금을 외부에서 구입해 충당하는 대신 남포 앞바다의 `바닷물 끌어오기'로 대응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바닷물을 끌어와 식수 소독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리 효율적인 것은 아니라는 게 국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의 이경혁 박사는 29일 "식수 소독에 바닷물을 직접 전기분해해 이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수송관에서 바닷물이 누수될 가능성이나 펌프에 소모되는 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그다지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은 소금과 전력 사정을 고려해 효율적으로 식수를 소독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수년 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007년 3월 "조선 국가과학원에서 소금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하는 음료수 소독액 제조기를 새로 개발했다"며 이 장치가 소금 및 전력 소비가 적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국방 > 자원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희토류 생산 ‘통제불능’ (아시아경제 2011.05.30 09:45) (0) | 2011.05.31 |
---|---|
드릴십에 꼭 필요한 바다위 정유공장 FPSO (매일경제 2011.05.27 19:51:39) (0) | 2011.05.30 |
군산 앞바다 `보물선` 실제로 있다? (매일경제 2011.05.24 18:18:42) (0) | 2011.05.25 |
<`이지 오일` 시대 끝나간다> (연합뉴스 2011/05/25 00:34) (0) | 2011.05.25 |
세계7호 `땅위의 유전` 여수에 생겼다 (조선일보 2011.05.13 05:20) (0) | 201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