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인물열전

차기 주한 美대사 내정자는 `나가수` 임재범의 사촌형 (한국일보

차기 주한 美대사 내정자는 '나가수' 임재범의 사촌형

정진석 정무수석과도 막역… 부친은 DJ 납치 관련 의혹
첫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에 내정된 성 김 미국 6자회담 특사가 가수 임재범과 사촌인 것으로 확인돼 눈길을 끌고 있다.

김 대사 내정자는 최근 TV프로그램 '나는 가수다'로 화제를 모은 가수 임재범의 고종사촌형이다.김 내정자의 어머니 임현자씨가 임재범의
아버지인 임택근(79) 전 MBC 전무의 누나이다. 스포츠 중계로 유명한 아나운서였던 임택근씨는 "누님의 둘째 아들인 성 김은 효자이자 수재"라면서 "한미 양국을 위해 일을 잘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말도 많은 '나가수'에 무슨 일이?)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의 인연도 깊다. 정 수석과 김 내정자는 1960년생 동갑으로 어릴 적 서울 성북동에 같이 살며 친구로 지냈고, 김 내정자가 이민 간 뒤에도 꾸준히 교분을 유지했다. 정 수석은 1993년 한국일보 워싱턴 특파원으로 부임해 그 해 여름 김 내정자가 로스앤젤레스에서 이화여대 미대 출신 부인과 결혼할 때 함을 지기도 했다. 김 내정자의 부인은 종로의 유명 한복점 주인의 딸로 알려졌다. 정 수석은 "김 내정자는 전형적인 외유내강형"이라며 "부친이 폐암으로 투병할 때 국무부를 1년 휴직하고 로스앤젤레스로 옮겨와 간병하면서 부친 생전에 결혼식을 올렸다"고 말했다.

김 내정자의 부친 김기완(가명은 김재권∙당시 공군 대령)씨는 1958년 부산발 서울행
경비행기 북한 피랍 사건인 '대한민항공사(KNA) 여객기 납치 사건' 당시 탑승객 30여명 중 한 명이었다. 남북 협상으로 20여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귀환했다. 부친은 이후 중앙정보부 해외요원을 지냈는데, 1973년 김대중(DJ) 전 대통령 납치 사건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 공사로 근무했다. 김기완씨가 미국으로 이민 간 것도 이 사건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DJ 납치 사건 당시 김씨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엇갈린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차기 주한 美대사에 성 김 6자회담 특사 내정 한미수교 이후 첫 '한국계'

중1때 이민… 한국 이름 김성용
10여차례 방북, 北문제에 정통
청문회 거쳐 이르면 8월께 부임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차기 주한 미국 대사에 성 김(51) 6자회담 특사를 내정해 한국 정부에 아그레망(주재국 임명동의)을 요청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성 김 내정자는 중학생 시절 미국으로 이민을 간 재미동포 1.5세대다.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 탄생은 1882년 한미 수교 이후 129년 만에 처음이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아그레망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김 특사를 주한 미국 대사로 지명했다는 사실을 공표할 계획이다. 김 내정자는 이어 상원 청문회를 거쳐 인준을 마치면 정식 임명된다. 청문회 일정에 차질이 없으면 8월께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 대사 후임으로 부임하게 된다.

한국 이름이 '김성용'인 김 내정자는
중학교 1학년 때까지 서울에서 살다가 1970년대 중반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하다 공직에서 물러난 아버지를 따라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펜실베이니아대 졸업로스쿨을 거쳐 검사 생활을 한 뒤 직업 외교관으로 변신했다.

그는 2006년 한국계로는 처음 미 국무부 한국과장에 발탁되면서 국내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대표단에 빠짐 없이 참가했고, 2008년 영변 핵시설
냉각탑 폭파 때는 미국 대표로 현장을 지켜보는 등 10차례 이상 북한을 방문했다. 2008년부터 6자회담 수석대표 겸 대북특사를 맡았다. 김 내정자는 대북특사 상원 청문회 때 한국계로는 처음 '대사' 직급에 올랐다
외교 소식통은 "미 국무부 안에서 그만큼 북한 문제를 많이 다뤄온 사람도 드물다"며 "한국계의 주한 대사 내정은 한미 관계가 공고하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새 6자회담 특사에는
중국 전문가인 클리퍼드 하트 해군참모총장 외교정책 자문역이 지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DJ, 성김 아버지 문제 삼지 말라 했다"
(연합뉴스 2011.06.06 21:24)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차기 주한 미국대사에 내정된 성 김 6자 회담 특사에 대해 생전에 “그 아버지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 삼거나 외부에 말하지 말라”는 뜻을 전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성 김 특사의 부친인 고(故) 김재권씨는 1973년 김 전 대통령 납치사건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에 공사로 근무했으며, 이후 김씨가 미국으로 이민 간 것도 이 사건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2008년께 성 김 특사가 미 국무부 한국과장으로서 6자 회담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할 당시 아버지의 전력이 일부 보도가 돼 보고를 했더니 김 전 대통령은 ‘그 당시 성 김은 태어났더라도 어려서 아무것도 몰랐을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김 전 대통령은 “그 아버지와 성 김이 무슨 상관이 있느냐. 이렇게 훌륭하게 성장을 했으니 미국과 한국을 위해 훌륭한 외교관으로 성공하길 바란다”며 “그런 이야기를 일절 하지 말아라”고 수차례 강조했다고 박 전 원내대표는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김 전 대통령은 생전에 ‘부모와 자식 간에 연좌제가 적용되어선 안된다’는 말을 여러번 했다”고 전했다.

최경환 전 비서관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시 인터넷에 그 아버지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가 떠돌아다녀 보고하니 김 전 대통령도 (성김 특사가 김재권씨 아들인 것을)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같았다”며 “김 전 대통령은 ‘우리 쪽에서는 아무말도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