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주한 美대사 내정자는 '나가수' 임재범의 사촌형
정진석 정무수석과도 막역… 부친은 DJ 납치 관련 의혹
첫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에 내정된 성 김 미국 6자회담 특사가 가수 임재범과 사촌인 것으로 확인돼 눈길을 끌고 있다.
김 대사 내정자는 최근 TV프로그램 '나는 가수다'로 화제를 모은 가수 임재범의 고종사촌형이다.김 내정자의 어머니 임현자씨가 임재범의 아버지인 임택근(79) 전 MBC 전무의 누나이다. 스포츠 중계로 유명한 아나운서였던 임택근씨는 "누님의 둘째 아들인 성 김은 효자이자 수재"라면서 "한미 양국을 위해 일을 잘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말도 많은 '나가수'에 무슨 일이?)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의 인연도 깊다. 정 수석과 김 내정자는 1960년생 동갑으로 어릴 적 서울 성북동에 같이 살며 친구로 지냈고, 김 내정자가 이민 간 뒤에도 꾸준히 교분을 유지했다. 정 수석은 1993년 한국일보 워싱턴 특파원으로 부임해 그 해 여름 김 내정자가 로스앤젤레스에서 이화여대 미대 출신 부인과 결혼할 때 함을 지기도 했다. 김 내정자의 부인은 종로의 유명 한복점 주인의 딸로 알려졌다. 정 수석은 "김 내정자는 전형적인 외유내강형"이라며 "부친이 폐암으로 투병할 때 국무부를 1년 휴직하고 로스앤젤레스로 옮겨와 간병하면서 부친 생전에 결혼식을 올렸다"고 말했다.
김 내정자의 부친 김기완(가명은 김재권∙당시 공군 대령)씨는 1958년 부산발 서울행 경비행기 북한 피랍 사건인 '대한민항공사(KNA) 여객기 납치 사건' 당시 탑승객 30여명 중 한 명이었다. 남북 협상으로 20여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귀환했다. 부친은 이후 중앙정보부 해외요원을 지냈는데, 1973년 김대중(DJ) 전 대통령 납치 사건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 공사로 근무했다. 김기완씨가 미국으로 이민 간 것도 이 사건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DJ 납치 사건 당시 김씨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엇갈린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김 대사 내정자는 최근 TV프로그램 '나는 가수다'로 화제를 모은 가수 임재범의 고종사촌형이다.김 내정자의 어머니 임현자씨가 임재범의 아버지인 임택근(79) 전 MBC 전무의 누나이다. 스포츠 중계로 유명한 아나운서였던 임택근씨는 "누님의 둘째 아들인 성 김은 효자이자 수재"라면서 "한미 양국을 위해 일을 잘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말도 많은 '나가수'에 무슨 일이?)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의 인연도 깊다. 정 수석과 김 내정자는 1960년생 동갑으로 어릴 적 서울 성북동에 같이 살며 친구로 지냈고, 김 내정자가 이민 간 뒤에도 꾸준히 교분을 유지했다. 정 수석은 1993년 한국일보 워싱턴 특파원으로 부임해 그 해 여름 김 내정자가 로스앤젤레스에서 이화여대 미대 출신 부인과 결혼할 때 함을 지기도 했다. 김 내정자의 부인은 종로의 유명 한복점 주인의 딸로 알려졌다. 정 수석은 "김 내정자는 전형적인 외유내강형"이라며 "부친이 폐암으로 투병할 때 국무부를 1년 휴직하고 로스앤젤레스로 옮겨와 간병하면서 부친 생전에 결혼식을 올렸다"고 말했다.
김 내정자의 부친 김기완(가명은 김재권∙당시 공군 대령)씨는 1958년 부산발 서울행 경비행기 북한 피랍 사건인 '대한민항공사(KNA) 여객기 납치 사건' 당시 탑승객 30여명 중 한 명이었다. 남북 협상으로 20여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귀환했다. 부친은 이후 중앙정보부 해외요원을 지냈는데, 1973년 김대중(DJ) 전 대통령 납치 사건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 공사로 근무했다. 김기완씨가 미국으로 이민 간 것도 이 사건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DJ 납치 사건 당시 김씨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엇갈린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차기 주한 美대사에 성 김 6자회담 특사 내정 한미수교 이후 첫 '한국계'
중1때 이민… 한국 이름 김성용
10여차례 방북, 北문제에 정통
청문회 거쳐 이르면 8월께 부임
10여차례 방북, 北문제에 정통
청문회 거쳐 이르면 8월께 부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차기 주한 미국 대사에 성 김(51) 6자회담 특사를 내정해 한국 정부에 아그레망(주재국 임명동의)을 요청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성 김 내정자는 중학생 시절 미국으로 이민을 간 재미동포 1.5세대다. 한국계 주한 미국 대사 탄생은 1882년 한미 수교 이후 129년 만에 처음이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아그레망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김 특사를 주한 미국 대사로 지명했다는 사실을 공표할 계획이다. 김 내정자는 이어 상원 청문회를 거쳐 인준을 마치면 정식 임명된다. 청문회 일정에 차질이 없으면 8월께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 대사 후임으로 부임하게 된다.
한국 이름이 '김성용'인 김 내정자는 중학교 1학년 때까지 서울에서 살다가 1970년대 중반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하다 공직에서 물러난 아버지를 따라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펜실베이니아대 졸업 후 로스쿨을 거쳐 검사 생활을 한 뒤 직업 외교관으로 변신했다.
그는 2006년 한국계로는 처음 미 국무부 한국과장에 발탁되면서 국내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대표단에 빠짐 없이 참가했고, 2008년 영변 핵시설 냉각탑 폭파 때는 미국 대표로 현장을 지켜보는 등 10차례 이상 북한을 방문했다. 2008년부터 6자회담 수석대표 겸 대북특사를 맡았다. 김 내정자는 대북특사 상원 청문회 때 한국계로는 처음 '대사' 직급에 올랐다
외교 소식통은 "미 국무부 안에서 그만큼 북한 문제를 많이 다뤄온 사람도 드물다"며 "한국계의 주한 대사 내정은 한미 관계가 공고하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새 6자회담 특사에는 중국 전문가인 클리퍼드 하트 해군참모총장 외교정책 자문역이 지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새 6자회담 특사에는 중국 전문가인 클리퍼드 하트 해군참모총장 외교정책 자문역이 지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DJ, 성김 아버지 문제 삼지 말라 했다"
(연합뉴스 2011.06.06 21:24)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차기 주한 미국대사에 내정된 성 김 6자 회담 특사에 대해 생전에 “그 아버지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 삼거나 외부에 말하지 말라”는 뜻을 전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성 김 특사의 부친인 고(故) 김재권씨는 1973년 김 전 대통령 납치사건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에 공사로 근무했으며, 이후 김씨가 미국으로 이민 간 것도 이 사건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2008년께 성 김 특사가 미 국무부 한국과장으로서 6자 회담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할 당시 아버지의 전력이 일부 보도가 돼 보고를 했더니 김 전 대통령은 ‘그 당시 성 김은 태어났더라도 어려서 아무것도 몰랐을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김 전 대통령은 “그 아버지와 성 김이 무슨 상관이 있느냐. 이렇게 훌륭하게 성장을 했으니 미국과 한국을 위해 훌륭한 외교관으로 성공하길 바란다”며 “그런 이야기를 일절 하지 말아라”고 수차례 강조했다고 박 전 원내대표는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김 전 대통령은 생전에 ‘부모와 자식 간에 연좌제가 적용되어선 안된다’는 말을 여러번 했다”고 전했다.
최경환 전 비서관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시 인터넷에 그 아버지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가 떠돌아다녀 보고하니 김 전 대통령도 (성김 특사가 김재권씨 아들인 것을)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같았다”며 “김 전 대통령은 ‘우리 쪽에서는 아무말도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성 김 특사의 부친인 고(故) 김재권씨는 1973년 김 전 대통령 납치사건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에 공사로 근무했으며, 이후 김씨가 미국으로 이민 간 것도 이 사건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2008년께 성 김 특사가 미 국무부 한국과장으로서 6자 회담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할 당시 아버지의 전력이 일부 보도가 돼 보고를 했더니 김 전 대통령은 ‘그 당시 성 김은 태어났더라도 어려서 아무것도 몰랐을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김 전 대통령은 “그 아버지와 성 김이 무슨 상관이 있느냐. 이렇게 훌륭하게 성장을 했으니 미국과 한국을 위해 훌륭한 외교관으로 성공하길 바란다”며 “그런 이야기를 일절 하지 말아라”고 수차례 강조했다고 박 전 원내대표는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김 전 대통령은 생전에 ‘부모와 자식 간에 연좌제가 적용되어선 안된다’는 말을 여러번 했다”고 전했다.
최경환 전 비서관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시 인터넷에 그 아버지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가 떠돌아다녀 보고하니 김 전 대통령도 (성김 특사가 김재권씨 아들인 것을)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같았다”며 “김 전 대통령은 ‘우리 쪽에서는 아무말도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인간관계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력·질서·외교력, 일본 앞서려면 한참 멀었다” (중앙선데이 2011.07.10 10:17) (0) | 2011.07.10 |
---|---|
내 정치를 말하다] (5)고승덕 한나라당 의원 (서울신문 2011-06-06) (0) | 2011.06.07 |
미 월가에 뜨는 한국계 천재 27세 대니얼 안 (중앙일보 2011.05.30 16:39) (0) | 2011.05.31 |
`빅 데이터(Big Data)사회`… (조선일보 2011.05.29 09:33) (0) | 2011.05.29 |
주간조선 커버스토리] 이 시대 구루 안철수 (조선일보 2011.05.16 20:11) (0) | 201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