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학과 ‘교육인증제’ 도입
정부가 전방위적인 서비스 산업 인력 고급화에 나선 것은 그동안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은 부족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또 녹색 친환경 등 새롭게 성장하는 미래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관련분야 인력 양성이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2일 “디자인 산업의 경우, 한 해 2만 6000명이 디자이너로 배출되는 세계 3위 수준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우수 인력이 외국계 회사에만 몰려 있어 정작 국내 기업들은 고급 인력의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교육 품질의 개선에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전문대 이상 관련학과가 932개(2006년 기준)에 이를 정도로 난립해 있는 문화콘텐츠 부문의 경우, ‘교육 인증제’를 통해 관리하기로 했다.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학과에만 재정을 지원해 고급인력 양성을 유도하고 그렇지 않은 곳은 시장에서 퇴출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디자인 분야도 각 대학 관련학과의 75%가 미술대학 소속이어서 다른 학문과 연계된 교육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공학·경영학·사회과학 등과 융합, 오는 9월 권역별로 특성화 디자인대학원을 7곳 선정할 예정이다.
전문지식을 가진 퇴직자나 재직자를 컨설턴트로 양성하는 전문교육 과정을 내년 3월 컨설팅 대학원 내에 개설한다. 이를 위해 올 7월까지 컨설팅 대학원을 2곳에서 5곳으로 늘린다. 정부는 녹색성장을 위해 저탄소형 산업구조로 핵심기술·제품·공정을 다시 설계하기 위해서도 관련 지식서비스 산업의 고급인력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녹색성장 및 녹색에너지 분야에서 고급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3년간 연세대, 성균관대, 아주대와 학술진흥 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2억 3000만원을 지원한다.
또 올 하반기부터 녹색성장 및 17개 신성장동력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원이 아닌 전문적인 직업 능력을 가진 유능한 인재를 기르기 위해 전문대학원 설립을 지원한다. 김주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석·박사 수준의 고급인력 양성 노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문기업들의 대형화를 통해 고급 인력이 채용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교 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명문대 4개 대학 합격 비법 (뉴시스 2009.05.13) (0) | 2009.05.13 |
---|---|
‘등록금 먹는 하마’ 수도권 사립대 적립금 수천억 한겨레 2009.05.12) (0) | 2009.05.13 |
서울대 졸업생 “영어 못하고, 부담스럽다”(문화일보 2009.05.11) (0) | 2009.05.11 |
40명 정원도 못 채운 국비유학생 (서울신문 2009.05.12) (0) | 2009.05.11 |
과학영재 송유근 수학담당은 사관학교 교수 (서울신문 2009.05.11) (0) | 200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