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 육/취업전쟁

나홀로가구 600만시대… 월급쟁이 셋 중 하나 월 200만원 못 벌어(서울신문 2020-06-23 18:57)

통계청 맞벌이·1인가구 고용 현황작년 10월 603만 가구… 전체 가구의 29.9%
40%가 미취업… 60세 이상 고령층 많은 탓
작년 맞벌이 가구 1년새 1만 3000가구 줄어

 

지난해 ‘나 홀로’ 사는 1인 가구가 600만 가구를 돌파했다. 400만 가구에서 500만 가구로 가는 데 5년이 걸린 반면 600만 가구는 4년 만에 넘어섰다. 통계청 예상 속도보다 빠르다. 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일자리가 없고, 월급쟁이 셋 중 하나는 월 200만원을 못 벌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주문한 1인 가구 대책을 정부가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603만 9000가구로 전년(578만 8000가구)보다 25만 1000가구(4.3%) 늘었다. 2017년(17만 9000가구)과 2018년(17만 5000가구)에 비해 증가 속도가 크게 빨라졌다.

통계청은 지난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2017~47년)에서 2019년 1인 가구 수를 598만 7000가구로 잡고, 올해 600만 가구를 돌파(616만 6000가구)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당겨졌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분가한 청년이 결혼을 늦게 하고, 고령화로 인해 배우자와 사별한 가구가 늘었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전체 가구(2018만 3000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년 전보다 0.7% 포인트 상승한 29.9%로 집계됐다. 열 집당 세 집은 나 홀로 가구인 셈이다. 취업한 1인 가구는 367만 1000가구(60.8%)로 파악됐다. 40%가량이 일자리가 없는 것인데, 60세 이상 고령층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인 가구 고용률은 전년보다 0.3% 포인트 낮아진 60.8%로 나타났다.

취업자 중 월급쟁이인 임금근로자는 291만 2000가구(79.3%), 자영업자가 대부분인 비임금근로자는 75만 9000가구(20.7%)로 조사됐다. 임금근로자 월급을 보면 100만원 미만이 11.7%, 100만~200만원 미만은 21.3%다. 두 구간을 합쳐 33.0%가 한 달에 200만원을 못 버는 것이다.

1인 가구는 실직 때 배우자 등 가족의 도움을 받을 수 없어 곧바로 생계에 위협을 받는다. 현대인의 뿌리 깊은 질병인 외로움과 고독감을 느끼기 쉽다. 이에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인 가구 종합대책을 만들라고 지시했고, 기획재정부는 김용범 1차관을 팀장으로 한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당초 5월 중 대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아직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1인 가구에도 다양한 집단이 섞여 있는 만큼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노인 가구엔 복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엔 일자리, 결혼을 고민하는 직장인엔 주거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맞벌이 가구 수는 566만 2000가구로 1년 전보다 1만 3000가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