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영유권 분쟁

한국 앞바다 꿀꺽하려는 중국의 진짜 속내는 (데일리안 2013.01.12 21:04:51) 한국 앞바다 꿀꺽하려는 중국의 진짜 속내는 해양패권 추구하는 중국의 전략과 야욕 읽기 ◇ '중국해권에 관한 논의' 장문목 저/주재우 역/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간 '중국해권에 관한 논의' 장문목 저, 주재우 역,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2010). 얼마 전 중국의 첫 항공모함 랴오닝함에서 젠(殲)-15(J-15) 전투기 착륙 훈련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중국 대양해군의 비약적인 발전의 모습을 압축적으로 과시하기에 충분하다. 대만과 남중국해를 겨냥한 중국의 해군력 증강은 필연적으로 동아시아와 남중국해 인근의 국가들에게 새로운 군비 경쟁을 불러왔다. 중국이 센카쿠(댜오위다오) 주변에 대한 감시활동을 상시화하기 시작하자, 이에 일본은 필리핀에 다목적 함정을 판매하면서, 해상안전 확보를 위한.. 더보기
中, 새 지도 곧 배포…영토 분쟁 불 당기나 (뉴시스 2013-01-12 20:27:21) 中, 새 지도 곧 배포…영토 분쟁 불 당기나 【서울=뉴시스】중국 국가측량지리정보국(NASMG)은 중국지도출판사에 의뢰해 중국의 육지와 바다의 경계를 새롭게 확인한 최신판 '2013 중화인민공화국전도'. 12일 중국 언론들은 당국이 주변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의 섬과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를 중국 영토로 명기한 세 지도 제작을 마치고 배포할 예정이라고 전한 가운데 관련국의 반발이 예상된다.(사진출처: 중앙정부사이트(GOV)) 2013-01-12 중국이 주변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의 섬과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를 중국 영토로 명기한 새 지도 제작을 마치고 배포할 예정이어서 관련국의 반발이 예상된다. 12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 더보기
<우리나라 바다에서 가장 깊은 곳은> (연합뉴스 2012.11.19 15:42)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 바다의 최저수심 위치정보 등 해양탐사 결과를 담은 `우리나라의 해양영토' 책자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바다에서 가장 깊은 곳은 울릉도 북쪽 96km 해역으로 수심이 2천985m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해와 남해에서 가장 깊은 곳은 각각 가거도 남동쪽 60km 해역(수심 124m), 마라도 북서쪽 2.3km 해역(수심 198m)이다. 기존에는 정확한 측량자료가 없어 관련 문헌과 교과서마다 최저 수심 정보가 서로 달랐다. 해양조사원은 이번 측량결과로 정확하고 통일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결과는 해양조사원이 2010년 완성한 국가해양기본도를 토대로 도출한 것이다. 해양조사원은 1996∼2010년 동·서·남해 해양탐사.. 더보기
日교수 "독도가 한국 땅 인정하고 그 대신…" (한국경제 2012-11-06 16:40) 日교수 "독도가 한국 땅 인정하고 그 대신…" 일본은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인정해야 한다. 한국 정부는 일본과의 협상을 통해 이를 설득해야 한다."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74·사진)는 지난 2일 '영토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를 주제로 열린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초청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일본의 대표적 진보 학자로 불리는 그는 줄곧 독도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가 한국의 영유권을 인정하고 일본 시마네현 어민들의 어업권을 보장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주장해왔다. 와다 교수는 영토 문제와 관련한 세 가지 선택 사항으로 △양국이 '고유 영토'임을 주장하며 대립하는 것 △해결되지 않은 채 보류 상태를 지속하는 것 △적극적으로 해결을 시도하는 것 등을 꼽았다. 그가 선택한 길은 세 번째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