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적조피해 예방에 총력′ | |
경남 남해 ~ 거제 앞바다에 적조주의보 발령
올들어 처음으로 경남 남해~통영~거제 앞바다에 적조주의보가 발령됨에 따라 전남도가 적조피해 예방에 본격 나섰다. 1일 도에 따르면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달 30일 오후 6시를 기해 경남 남해군 미조면 미조등대 종단에서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심도 종단에 이르는 수역에 적조주의보를 내렸다. 이 해역에서 유해성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 이 적조주의보 기준치(300개체/ml)를 초과한 최고 1500개체가 발견됐다. 코클로디니움(coclodinium polykrikoides)이란, 바다에 분포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여름철에 적조를 일으키고 다량의 점액질을 가지고 있어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되면 어류의 산소 교환 능력을 감소시켜 폐사시킨다. 수산과학원은 육지의 염양염류가 바다로 유입되고 폭염으로 인한 일조량 증가, 예년보다 1~3.5℃ 높은 남해안 수온 등이 적조생물의 성장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 적조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올해 적조는 그 활력과 성장 속도를 볼 때 최근 몇 년 동안 적조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소규모로 단기간에 나타났던 발생 상황과는 달리 중규모 이상으로 올여름 지속적으로 분포범위를 넓혀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따라 전라남도는 최근 관계기관대책회의를 개최, “국립수산과학원, 해경, 지자체 등과 협조체제를 강화하고, 적조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적조대책상황실을 운영해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와 전남도 해양수산과학원과 함께 현장조사 결과 원격탐사 정보 등을 분석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기로 했다. 이인곤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적조 접근시 해상가두리양식장은 현지 상황에 따라 시설물 수층을 조절하고 성어는 출하를 독려하며 지속적 관심과 함께 적조 유입 시 산소발생기를 가동함과 동시에 먹이공급을 중단해 달라"며 "육상양식장에서는 적조 진행 상황에 따라 사전에 육상수조의 수위를 높이는 한편 취수와 먹이공급 중단과 함께 산소발생기 가동과 액화산소 공급 등 예방 장비를 총 가동해 수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한다”고 당부했다. |
'프 로 필 > 언론보도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도, 양식 우럭 수매자금 40억원 지원 (연합뉴스 2012-08-02 14:52) (0) | 2012.08.02 |
---|---|
남해안 적조주의보 (한겨레 2012.08.01 21:14) (0) | 2012.08.01 |
전남도 "적조피해 예방 총력전" (ET NEWS 2012-08-01 09:14) (0) | 2012.08.01 |
전남, 적조 '비상'…남해안 첫 적조주의보 발령 (뉴스1 2012.07.31 16:32:14) (0) | 2012.08.01 |
남해안 첫 적조주의보 전남 '초긴장' (뉴시스 2012-07-31 15:31) (0) | 201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