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 료/힐링푸드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브리태니커)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과(菩提樹―科 Elaeagn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키는 3m 정도이고, 어린가지는 은백색을 띠며 가시가 달려 있다.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잎에 은백색의 비늘처럼 생긴 털이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5~6월에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1~7송이씩 무리져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이 종(鍾) 모양으로 자라 꽃부리를 이루는데 꽃부리 끝은 4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수술 4개는 꽃부리에 달라붙어 있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10월에 붉은색의 장과(漿果)로 익으며 날것으로 먹는다.

이밖에 한국에서 보리수나무라고 부르는 식물로는 불교에서 말하는 보리수, 슈베르트의 가곡에도 나오며 열매로 염주를 만드는 보리자나무(Tillia miqueliana)가 있다. 그러나 이 가곡에 나오는 보리수는 '린덴바움'(Lindenbaum)으로 보리수나무 종류가 아니라 피나무류 식물이다. 피나무 종류에는 염주나무 와 중국에서 불교와 함께 들어온 나무로 알려진 보리자나무가 있다. 그런데 가곡의 린덴바움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불교의 보리수와 혼동하여 잘못 옮긴 것이라 여겨진다. 한국에서 자라는 보리수나무는 키가 작은 관목으로 노래 가사에서처럼 나무 그늘 밑에서 단꿈을 꾸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보리자나무가 절에서는 흔히 보리수나무로 불린다. 이는 피나무과(Til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키는 10m 정도이다. 잎은 심장형으로 잎끝이 뾰족하며 잎의 기부는 조금 파여 있다. 잎에는 회백색의 별 모양의 잔털이 있고, 연한 노란색의 꽃은 이른 여름에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자루에 커다란 포(苞)가 달려 열매가 익을 때까지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다. 열매는 구형의 핵과(核果)로 익는다. 중국 원산으로 한국에는 불교와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질 뿐, 언제부터 심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석가가 그 밑에서 해탈한 나무라 해 절에서 주로 많이 심고 있으나, 불교에서 말하는 보리수와는 다른 나무이다. 석가와 관련된 보리수는 보오나무이다. 이 나무는 인도의 가야산(伽倻山)에서 자라는 나무로 사유수(思惟樹) 또는 인도보리수라고도 부른다. 보오나무는 상록교목으로 키가 30m에 이르며 잎 기부가 꼬리처럼 길게 자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보리수 

 (부산일보 2014-03-10 [10:32:15]

 

보리수는 석가모니가 이 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었다 하여 각수(覺樹·깨달음의 나무) 또는 도량수(道場樹)라고도 불리는 나무다. 그 씨는 깨알보다 작지만, 자라면 평균 30m나 되는 거대한 나무로 우뚝 서 뭇 중생에게 그늘을 선물한다. 이 때문에 작은 보시가 큰 은덕으로 되돌아온다는 의미로 자주 인용된다. 보리수 한 그루가 커다란 숲 하나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보리수는 아열대 기후에 사는 나무여서 우리나라에서는 자랄 수 없다. 절 마당에서 키우는 보리수는 완전히 다른 피나뭇과의 나무이다. 원산지중국이며, 열매로는 염주를 만든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또 다른 보리수나무도 있다. 산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가을에 약간 떫고 단맛이 나는 보리똥이라고도 불리는 빨간 열매를 맺는다. 경남 고성에서는 이 열매로 보리수 와인을 만들어 특산물로 판매하고 있다.

세 종류의 보리수는 이처럼 완전히 다른 나무다. 나무의 족보라고 할 수 있는 학명조차 다르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물론 스님들조차 이를 구별하지 못하고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다. 학계에서는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보리수는 '인도보리수', 열매로 염주를 만드는 보리수는 '보리자나무'로 따로 부르기도 한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자리에 있던 인도보리수의 직계 후손목이 부산으로 올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 지난 1월 16일 뉴델리에서 개최된 한·인도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인도 정부가 한국 국민에 대한 각별한 우의를 전달하기 위해 산림청에 전달한 묘목이다. 인도는 가야 때 아유타국 공주인 허 왕후가 김수로왕에게 시집오고, 신라 때는 혜초 스님이 구법 여행을 떠날 만큼 우리나라와 깊은 유대를 갖고 있다. 인도 뭄바이와 자매결연을 하고 있는 부산에서는 올해 다양한 인도 관련 행사가 예정돼 있다. 인도보리수가 인도와 부산을 잇는 거목으로 자라나기를 기대한다.

 

 

[꽃산행 꽃글·80] 해인사에서 만난 보리수나무 열매

 (프레시안  2013.10.18 09:11:00)

감기 날릴 보리수나무 열매에 얽힌 추억

 

콜록콜록. 몇 해 만에 감기에 걸렸다. 으슬으슬 한기는 없었지만 기침이 요란하게 몸 안에서 나왔다. 가래도 몹시 집요하게 끓었다. 땅에 떨어져 지독한 냄새를 풍기는 은행이 은행나무에서 바람 불 때마다 떨어지는 것처럼 그 좁은 목구멍 안에 웬 그리 많은 기침과 가래가 살고 있었는지 좀체 그칠 줄을 몰랐다. 은행 알처럼 쓸어 담는다면 나에게서 떨어져 나간 기침도 몇 가마니는 되었을 것이다. 콜록콜록.

이젠 조금 사그라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쿨렁쿨렁 잔기침이 묻어나는 몸을 이끌고 해인사에 갔다. 대구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일본의 설치미술가 쿠사마 야요이 전시회, <A Dream I Dreamed>를 보러 가는 도중에 잠시 들른 것이다. 해인사는 마침 <2013 대장경세계문화축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일주문으로 가는 도중에 <마음>을 주제로 한 각종 설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축제에 참가한 관광객들이 많았다. 합천은 나의 고향인 거창과 이웃한 곳이라서 해인사하고는 쌓은 추억이 많다. 어느 해 동네 어른들이 추수 끝내고 단체로 해인사로 놀러 갔었다.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이었던 나도 부모님을 따라갔던 기억이 뚜렷하게 떠올랐다. 길바닥에 내려앉은 나뭇잎의 그림자들을 보자니 옛날 사람들 생각이 났다. 이미 많은 분들이 이젠 저 길바닥보다도 더 낮은 곳으로 들어가셨다. 변하지 않는 것은 저 그림자들 뿐.

가야산 능선을 짚어가는 산행에야 비할 바는 못 되겠지만 울창한 숲을 따라 걷는 가야산 소리길을 걷는 맛도 훌륭했다. 이제 단풍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저 혼자만의 세계로 떠나는 꽃들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겨울을 준비하는 나무들이 호위하는 가운데 임시 장터가 열렸고 각종 기념품과 먹을거리가 너도나도 호객 행위를 하고 있었다.

그중에서 특히 나의 눈길을 끄는 것이 있었다. 때마침 터져 나오는 기침을 콜록콜록 해대며 가까이 가 보았다. 매직펜으로 휘갈겨 쓴 글씨의 두꺼운 마분지가 꽂혀 있었다. "보리수, 국산. 기관지, 천식, 편도, 기침, 가래에 특효. 감기, 피로 회복에 좋음". 알고 보니 그것은 보리수나무 열매였다. 지리산이나 설악산 등 전국 어느 산에서나 흔히 보는 보리수나무. "국산"이라고 표시된 것으로 보아 아마 이곳 가야산에서 수확한 열매인 것 같았다.

 

어린 시절 우리 고향에서도 다래, 정금, 오디와 함께 참 많이 따먹었던 열매. 우리 동네에서는 '뻐리똥'이라고 했었다. 나는 뻐리똥을 안 지는 제법 오래 되었지만 보리수나무를 보리수나무로 알게 된 것은 최근이다. 그동안 미련하게도 나무를 나무로 제대로 대접하지 못했던 것이다.

당장 바로 지난 주 나는 인왕산에서 보리수나무를 만난 적이 있었다. 범바위 근처에 딱 한그루가 있다. 혹 열매가 있나 샅샅이 훑어보았는데 누가 다 따먹었는지 도무지 눈에 띄지가 않았다. 바람이 몹시 부는 곳의 길목에서 오직 열매 하나가 애달프게 달려 있었다. 그 아쉬웠던 마음을 달래라도 주려는 듯 고향 근처의 햇빛과 물을 먹고 자란 열매가 눈앞에 대량으로 척 나타난 것이었다. 그들은 씨알도 탄탄하게 굵었고 색깔도 선명하게 붉었다!

부처가 그 아래에서 정등각(正等覺)을 이루었다는 보리수하고는 전혀 다른 나무이지만 그래도 보리수, 나무라고 하면 괜히 기분이 더 좋아진다. 더구나 여기는 해인사가 아닌가. 더구나 지금 나는 기침을 콜록콜록 해대는 감기환자가 아닌가. 가래와 기침에 특효이고 감기에 좋다고 하지 않은가. 면허증 따위야 없겠지만 가야산을 누비고 다니는 분들이 제시하는 민간 처방의 효능을 무작정 믿고 싶어졌다.

그냥 먹어도 되고 술에 담가 먹어도 좋다고 했다. 몇 알을 입안에 넣었더니 시큼한 맛이 돌고, 금방 입안에 침을 고이게 했다. 덩달아 물컹한 옛날 생각이 떼 지어 일어났다. 이 상큼한 옛 생각이 목구멍에 들러붙은 감기 기운을 데리고 가주면 좋으련만!

햇볕을 따뜻하게 쬐고 계시는 모습이 멀리서 볼 땐 생전의 외할머니 모습과 비슷했던 할머니. 좌판 가까이 가서 뵈니 틀니를 하고 계시어 더욱 그랬던 것 같았다. 일금 5000원 어치를 샀더니 한 쌀밥을 담는 사기그릇에 고봉으로 한 움큼 주셨다. 그러고도 한 주먹 더 쥐어주었다. 보리수열매를 파는 가게 할머니는 요란하게 해대는 나의 기침소리를 차마 외면하지 못하셨나 보다. 콜록콜록.

 

 

 

바다사랑 블로그 (2014/05/28 23:00)

보라수열매예요. 탐스럽게 잘 익었어요. 달면서도 끝맛이 떨따고 해야하나? 어째든 맛있게 혼자 얌얌~~

 

 

 

[풀꽃나무이야기] 보리수라 불리는 나무에 대하여

 (조선일보 2014.02.09 09:00)

 

정보가 중요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선택이 중요한 시대가 되어갑니다. 인터넷 환경이 발달하면서 검색만 하면 웬만한 정보는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정보량이 방대하다 보니 그 속에서 올바른 정보만 골라내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전문가가 작성한 정보도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전문가가 아닌 이들에 의해 재생산된 정보의 정확성은 항상 검증해 보아야 안심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특히 식물 쪽은 더욱 그러합니다.

보리수라 불리는 나무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인터넷에 보리수에 대한 자료는 넘쳐 납니다. 하지만 워낙 복잡한 이야깃거리가 얽혀 있다 보니 잘못 게재된 정보가 많아 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알려드릴까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통용되는 보리수라는 이름의 나무는 네 다섯 가지로 추릴 수 있습니다.
(1)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장소의 보리수
(2) 슈베르트 가곡에 나오는 보리수
(3) 우리나라에서 자라며 빨간 열매를 맺는 보리수나무
그리고 이름은 좀 다르지만, 생김새가 비슷한 보리자나무(4)와 찰피나무(5)도 함께 다뤄야 합니다.

먼저 부처님과 관련된 보리수는 뽕나뭇과의 상록활엽수로, 인도보리수(학명 Ficus religiosa)라고 합니다.

인도보리수의 잎(금강수목원)
인도보리수의 잎(금강수목원)

상록활엽수라는 말은 잎이 넓으면서도 겨울에 낙엽이 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인도보리수는 잎이 무척 두껍고 넓어 고무나무 같으며 인도처럼 더운 지방에서 자라는 열대성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후가 맞지 않아 월동하지 못하기에 식물원이나 수목원의 온실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인도에는 워낙 흔하다 보니 부처님이 그 나무 밑으로 가서 수행하게 된 것은 매우 자연스럽고 우연한 일일 것입니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나무이고, 중국에 불교가 전해지면서 한자로 음역하여 보리수라는 이름이 생겨났습니다.

여기서 ‘보리수’라는 이름에 비밀 아닌 비밀이 있어 오늘날 이 같은 혼란의 빌미를 제공하였습니다. 사실 ‘보리’라는 음에 맞는 한자는 찾을 수 없습니다. 원래 한자는 ‘보제(菩提)’이기 때문입니다. 쓰기는 ‘보제’라고 쓰되 읽기는 ‘보리’라고 읽는 것입니다.

‘보제’는 불교의 근본이념인 ‘깨달음의 지혜’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보디(Bodhi)’를 음역한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감이 좋지 않아 수도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보리로 읽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제수(菩提樹)’라고 해야 할 것을 ‘보리수’라고 하다 보니 우리나라에 원래부터 있는 보리수나무(또는 보리수)와 혼동이 생기자 ‘인도보리수’라고 하여 구별하게 된 것입니다.

인도보리수는 앞서 말했다시피 열대성 나무라 국내에서는 자랄 수가 없습니다. 그와 비슷하고 염주가 열리는 대용품 나무를 중국에서 들여와 사찰 주변에 심어 기르기 시작하면서 그 나무를 보리수라고 불렀습니다.

염주가 열리는 그 나무는 찰피나무(학명 Tilia mandshurica)라는 나무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인도의 나무와는 완전히 다른 피나뭇과의 나무이고, 우리나라에 보리수나무라는 나무가 이미 있어 헷갈리므로 학자들은 그 나무를 ‘보리자나무(학명 Tilia miqueliana)’라고 불렀습니다.

보리자나무의 꽃과 잎
보리자나무의 꽃과 잎

나무에 대한 식견이 부족한 스님들은 아직도 보리자나무를 부처님의 나무, 즉 인도보리수로 착각하곤 합니다. 중국이 원산지인 보리자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찰피나무와 외형상 거의 비슷해서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찰피나무의 꽃과 잎
찰피나무의 꽃과 잎

찰피나무에 비해 보리자나무는 잎의 폭이 약간 좁고 가장자리의 톱니가 덜 날카롭지만 육안상 구별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찰피나무의 열매는 달걀 모양 또는 구형인데 비해 보리자나무는 약간 납작한 점 정도가 그나마 식별 가능한 차이점입니다.

보리자나무의 열매(왼쪽)와 찰피나무의 열매(오른쪽)
보리자나무의 열매(왼쪽)와 찰피나무의 열매(오른쪽)

그보다 더 쉬운 100% 구별법을 알려드릴까요? 산에서 만나면 찰피나무, 절에서 만나면 보리자나무입니다. 얼마 전에 문화재 소유권으로 인해 언론에 심심찮게 등장했던 서울시 은평구 진관사에도 보리자나무가 심어져 있습니다.

서울시 은평구 진관사의 보리자나무
서울시 은평구 진관사의 보리자나무

요컨대, ‘보제(菩提)’라는 용어의 좋지 않은 어감 때문에 ‘보리’라고 읽게 된 데에서 ‘보리수’의 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혼란은 염주를 얻을 수 있는 보리자나무 역시 보리수로 부르게 했고, 보리자나무와 같은 피나뭇과의 다른 나라 나무의 이름을 번역하는 데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런 영향으로 슈베르트의 유명한 가곡 ‘린덴바움(Der Linenbaum)’을 ‘보리수’라고 번역하기에 이른 것입니다. 학창시절에 배운 그 성문 앞 우물곁에 서 있는 보리수는 사실 ‘유럽피나무(학명 Tilia europaea)’라고 하는 종입니다. 경기도 오산시 물향기수목원에 우물 없이 몇 그루 심어져 있습니다.

유럽피나무(물향기수목원)
유럽피나무(물향기수목원)

물론 인도보리수하고는 아주 다르고, 보리자나무에 비해서도 잎과 열매가 작은 점이 분명히 다릅니다. 하지만 보리자나무처럼 염주 같은 열매를 매다는 모습이 비슷하다고 느낀 누군가가 린덴바움을 보리수라고 번역한 모양입니다.

그는 아마 불교신자이거나 피나무의 존재를 몰랐던 사람일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인도와 독일의 전혀 다른 두 나무가 우리나라에서 ‘보리수’라는 이름으로 만나 헷갈리게 되었습니다.

이 혼란에 뜻하지 않게 일조를 한 건 우리나라에서 원래부터 자라고 있던 보리수나무입니다. 보리수나무(학명 Elaeagnus umbellata)는 봄에 은백색 꽃이 피었다가 가을에 약간 떫은 듯한 단맛이 나는 작고 빨간 열매를 맺는 나무입니다.

보리수나무의 꽃과 열매
보리수나무의 꽃과 열매

보리수나뭇과의 나무로, 피나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시골에서 자란 분들은 어릴 적에 ‘뽀루수’라고 해서 그 열매를 따먹은 기억이 있을 겁니다. 보리수나무라는 이름은 씨의 모양이 보리 같으니까 수(樹)자를 붙여서 지은 건데, 거기에 다시 ‘나무’를 중복시켜 동의어 반복을 한 모양새입니다.

보리수나무의 씨
보리수나무의 씨

역전을 역전앞이라고 하고 고목을 고목나무라고 하듯이 말입니다. 그건 다 의미를 좀 더 확실하게 하려다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의미를 확실하게 하려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혹시 사찰에서 보리수라는 이름이 쓰이게 될 즈음에 혼란을 피하기 위해 부처님의 보리수는 인도보리수로 하고, 빨간 열매를 맺는 우리의 보리수는 슈베르트의 보리수와 구별하기 위해 보리수나무로 부르게 된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인도보리수, 보리수, 보리수나무, 보리자나무로 각각의 정확한 명칭을 쓴다면 혼란은 줄어들 것입니다.

이 정도가 보리수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입니다. 유추한 부분도 있으므로 100% 정확하다고 장담할 순 없지만 그 어느 정보보다 가장 정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