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민감한 정치현안에 대한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발언이 이어지면서 민주당 내에서도 다양한 시각이 교차하는 분위기다.
일단 김 전 대통령 발언에 힘입어 민주당이 지지층 결집이란 이득을 얻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한 상황이다.
한 고위당직자는 1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전 대통령이 현재 상황을 독재의 위기로 규정함에 따라 민주당이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유지할 동력을 얻게 됐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의 발언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다시 모인 야당 지지층의 결집도를 한층 강화하는 효과를 냈다는 것.
이 당직자는 "똑같은 말을 정세균 대표가 했다고 한들 비슷한 효과가 나왔겠느냐"고도 했다.
반면 당내 일각에선 김 전 대통령의 발언이 단기적으로 민주당에 보약이 될진 몰라도, 장기적으론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진단도 흘러나온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민주당은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반사이득을 얻은데 이어 지금은 김 전 대통령에게 얹혀가는 분위기"라며 "민주당의 존재감은 사라졌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현재 정국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시현상'일뿐이고, 두 전직 대통령의 후광효과는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내년 지방선거와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민주당은 자력갱생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김 전 대통령의 발언이 민주당에 역풍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조문정국을 거치면서 김 전 대통령이 정치의 중심에 선 것처럼 비쳐진만큼 자칫하면 `상왕정치', `노인정치의 부활'이라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통령측 최경환 비서관은 "김 전 대통령의 말씀은 전체적으로 나라가 어려운 상황에 처한 시점에서 후배 대통령에게 보내는 충고다. 김 전 대통령은 현실 정치를 하시는 분이 아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