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분야/창조경제

[지자체, 지역경제 살리기 ‘피땀의 현장’] 성공 신화 마을기업 한자리에 (서울신문 2013-06-13)

[지자체, 지역경제 살리기 ‘피땀의 현장’] 성공 신화 마을기업 한자리에

15~16일 충청권 첫 박람회… 생산품 판매 등 행사 다채

 

마을의 아이 엄마들이 모여 만든 육아 온라인 카페는 공동육아를 하더니 육아 품앗이 학교를 운영하고, 매년 임신출산육아 박람회를 여는 성공적 마을기업으로 변신했다. 3만 그루의 매실 나무를 공동으로 갖고 있던 마을에서는 부녀회가 중심이 돼 매실한과, 매실엑기스, 매실고추장 등을 만들어 월 1500만원의 소득을 거두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오는 15~16일 대전엑스포 시민광장에서 열리는 대전·충청권 마을기업 박람회에는 대전, 충남, 충북 지역 162개 마을기업이 참여해 각자 생산하는 다양한 제품을 전시, 판매하고, 특수한 처지와 실정에 맞게 운영되는 마을기업의 활동 내용, 기업 모델 등을 소개한다.

마을기업 박람회가 지역단위로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안전행정부와 대전광역시가 공동으로 주최하긴 하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정부가 주도하는 ‘관급 행사’를 벗어나 행사 기획, 준비, 운영 등을 참가 마을기업들이 주체적으로 진행하는 지역공동체 축제 한마당 성격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마을기업은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각종 자원을 활용한 수익 사업을 통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마을 단위 기업으로 전국적으로 787개가 운영돼 지난해만 6533개 일자리를 만들고 492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된다.

 

 

[지자체, 지역경제 살리기 ‘피땀의 현장’] 오미자 변신… 1000억 대박

 (서울신문 2013-06-13)

경제활성화 우수 사례 문경시, 대통령상 영예

 

오미자를 다양하게 상품화해 연 1000억원의 소득을 거두는 경상북도 문경시가 지역경제 활성화 최우수 사례로 뽑혔다.

12일 경기도 화성에서 열린 ‘제18회 지역경제 활성화 우수사례 발표 대회’에서 ‘오미자의 복차(複次) 산업화로 창조경제 실현’을 발표한 문경시가 대통령상인 최우수상을 받았다. 또한 국무총리상인 우수상은 지역공동체 활성 방안으로 ‘골목에서 소통하다’를 발표한 경기 수원시가 수상했다.

오미자는 문경시의 효자 재배작물이다. 주로 약재로만 쓰인다. 하지만 1차 재배생산에 그치지 않고, 오미자청, 오미자 술로 제조 가공했고, 판매 유통시켰다. 또한 문경시는 2차, 3차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융합형 산업화를 위해 문경오미자산업 육성 전담팀을 구성해 7년 동안 집중적인 투자를 계속했다. 여기에 민·관·산·학의 수평적 창조 협업까지 더해졌고, 오미자의 이미지 캐릭터화 등까지 이어지며 2005년 40억원 정도이던 연 매출액이 지난해 1000억원대로 늘어날 만큼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급성장했다.

또 우수상을 받은 경기 수원시는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장애인 등이 많은 조원1동 주민들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례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불우이웃 반찬나누기, 마을음악회, 작은도서관, 각 나라 음식만들기 등 아기자기하면서 의미 있는 사업을 펼치며 공동체 활성화뿐 아니라 여성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덤으로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