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염 원산지 식별방법 최초 개발
![]() |
전남도가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천일염 원산지 식별방법을 전국 최초로 개발했다.
외국산 천일염의 국내산 둔갑 판매 행위를 막고 전남 천일염의 세계명품화 육성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3일 전남도에 따르면 목포대 천일염 및 염생식물 산업화 사업단이 지식경제부와 전남도에서 지원하는 지자체 주도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국내산과 외국산 천일염을 12시간 이내에 신속히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사업단이 개발한 천일염 원산지 식별법은 천일염 생산과정 중 염전 결정지에 김치 유산균을 투입, 천일염을 제조한 후 천일염에 함유된 김치유산균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국내산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특히 김치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면 해남, 무안, 영광, 신안 등 생산지별 천일염도 구별할 수 있어 앞으로 지리적 표시제 도입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별에 사용되는 김치 유산균은 국내 김치에 있는 1000여 종의 유산균 중 기능적 특성이 있는 50종을 선별해 실험하고 최종적으로 4종을 선발했다.
목포대에서 보유한 김치유산균과 검출유전자 단편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방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해 외국산의 국산 둔갑 행위를 막을 수 있다는 게 사업단측의 설명이다.
천일염 생산 때 1회당 사용되는 유산균 가격은 결정지 1칸 기준으로 4000원 정도로 예상된다. 이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 유산균이 소금결정의 핵으로 작용, 10% 정도의 천일염 생산이 늘기 때문에 오히려 소득 향상 효과가 있어 천일염 생산자들의 자발적 구매가 예상된다.
도는 외국산의 원산지 둔갑을 막기 위해 고급포장재 제작을 지원하고 소금 품질검사 제도를 시행 중이다. 천일염 이력제와 품질인증제 시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원산지를 식별할 수 있는 확실한 검증지표가 개발됨에 따라 전국 천일염 생산량의 86%를 차지하고 있는 전남 천일염 산업이 한층 향상될 전망이다.
이인곤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김치 유산균을 이용할 경우 천일염 생산량 증가로 어민 소득 향상과 원산지 둔갑 방지 등 천일염 산업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도내 생산자들에게 유산균을 이용한 천일염 제조법을 적극 홍보하고 이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식염 소비량은 연간 100만t 규모로 국내산 천일염이 32만t, 수입산 식용천일염 45만t, 기타 정제염 등이 23만t을 차지하고 있다.
이중 식용소금의 45%를 차지하는 수입산의 대부분이 포대갈이 등을 통해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나 지금까지는 원산지를 식별할 확실한 검증지표가 없어 주로 현장 단속만 실시하는 한계가 있었다.
'프 로 필 > 언론보도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도,수산업 정책자금 이차보전 사업 신청하세요 (브레이크뉴스 2012/07/04 [21:41] (0) | 2012.08.01 |
---|---|
전남서 천일염 원산지 식별방법 최초 개발 (뉴스1 2012.07.03 13:47:27) (0) | 2012.08.01 |
올 여름 피서는 가장 물 좋은 전남 해변서 (아시아뉴스통신 2012년07월02일 16시07분) (0) | 2012.08.01 |
전남, 전국 수질 우수해변 절반 차지 (뉴시스 2012-07-02 14:56) (0) | 2012.08.01 |
국토 최남단 가거도 향리항, 국가항으로 개발 (뉴스1 2012.06.09 14:00:12) (0) | 201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