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바로알기

문익점 800년 앞선 유물, 면직물역사 다시써야 (뉴시스 2010.07.15 11:09)

문익점 800년 앞선 유물, 면직물역사 다시써야

고려말인 14세기 후반 문익점(1329~1398)에게서 비롯됐다는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무려 800년이나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국립 부여박물관(관장 강대규)은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1999년 능산리 절터 제6차 조사에서 수습한 직물(폭 2㎝, 길이 약 12㎝)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심연옥·정용재 교수) 팀과 함께 주사 전자현미경(SEM)을 통한 종단면 관찰 결과, 면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돼 이 직물이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로 짠 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유물이 목화에서 실을 뽑아 독특한 방법으로 직조됐음을 가리키는 대목이라는 것이다.

면직물의 재료가 되는 목화는 역사적으로 14세기 후반에 문익점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어 있는 것이다. 제작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1330~1374) 때로 추정됐다.

그러나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의 백제 유적 층에서 출토된 이번 면직물이 확인됨에 따라 한국의 면직물 역사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이 면직물과 함께 출토된 '창왕명 사리감'의 제작년도가 567년임을 감안할 때 문익점보다 무려 800년이나 앞서는 국내 최고(最古)의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박물관은 강조했다.

박물관은 "이번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방식의 직물"이라며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어 이 직물을 통해 백제인의 독창적인 직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성과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발표될 예정이다.

‘문익점 목화씨’ 신화 깨졌다

한겨레 | 입력 2010.07.15 19:20

800년 앞선 백제시대 면직물 확인



'문익점의 목화씨' 신화가 깨졌다. 고려말 문신 문익점(1329~1398)이 중국에서 목화씨를 숨겨 들어와 키우면서 이 땅에서 무명천(면직물)을 처음 짜기 시작했다는 교과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판명됐다.

최근 충남 부여 능산리의 6세기 백제 절터에서 나온 백제산 직물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면직물 실물로 확인됐다. 국내 면직물의 역사가 800년 이상 앞당겨지게 된 것이다.

국립부여박물관은 최근 능산리 절터 출토품 분석 과정에서 1999년 조사 당시 유적 저습지에서 목기류와 함께 나온 직물 덩어리(폭 2㎝, 길이 약 12㎝·사진)가 국내 최고의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박물관 쪽은 이 직물이 6겹으로 접힌 덩어리 모양으로,
한국전통문화학교의 심연옥·정용재 교수팀과 함께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종단면을 살펴본 결과 식물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특징인 완두콩 형상의 결정 구조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같은 출토 층위에서 567년 백제 창왕 때 만든 사리감이 나와 당시 백제의 직물임이 확실하다"는 설명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국내 최고 면직물은 경북 안동의 고려 말 태사자 묘에서 나온 소가죽 장화 안감에 붙은 직물이다.

심 교수는 "씨실을 강하게 꼬아 쓰는 독창적 직조수법 등으로 미뤄 당시 외국에서 백제로 목화씨가 전해졌으며, 면직물 자체를 백제에서 생산한 것이 확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목화는 고대 중앙아시아, 인도에서 비단길 등을 거쳐 중국, 한반도에 전해졌다. 국내 재배와 생산은 < 고려사 > 기록 등에 따라 문익점에서 비롯됐다는 게 정설이었으나 학계 일부에서는 이론을 제기해왔다.

< 삼국사기 > 에 통일신라
경문왕 9년(869)에 면직물의 중국 명칭인 백첩포 40승을 당나라에 보냈다는 기록이 전하고, 당의 사서 < 한원 > 에도 고구려에서 백첩포를 짰다는 기록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확인된 백제산 면직물은 옛 기록을 실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이 면직물은 박물관의 능산리사지 특별전(8월15일까지)에 전시중이며 분석 성과는 오는 10월 박물관 국제학술심포지엄에도 보고될 예정이다.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확인된 면직물 조직 모형도

뉴시스 | | 입력 2010.07.15 11:11

고려말인 14세기 후반 문익점(1329~1398)에게서 비롯됐다는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무려 800년이나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국립 부여박물관(관장 강대규)은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1999년 능산리 절터 제6차 조사에서 수습한 직물(폭 2㎝, 길이 약 12㎝)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심연옥·정용재 교수) 팀과 함께 주사 전자현미경(SEM)을 통한 종단면 관찰 결과, 면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돼 이 직물이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로 짠 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유물이 목화에서 실을 뽑아 독특한 방법으로 직조됐음을 가리키는 대목이라는 것이다.

면직물의 재료가 되는 목화는 역사적으로 14세기 후반에 문익점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어 있는 것이다. 제작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1330~1374) 때로 추정됐다.

그러나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의 백제 유적 층에서 출토된 이번 면직물이 확인됨에 따라 한국의 면직물 역사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이 면직물과 함께 출토된 '창왕명 사리감'의 제작년도가 567년임을 감안할 때 문익점보다 무려 800년이나 앞서는 국내 최고(最古)의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박물관은 강조했다.

박물관은 "이번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방식의 직물"이라며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어 이 직물을 통해 백제인의 독창적인 직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성과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발표될 예정이다.

“문익점보다 800년 앞서 한반도서 목화 재배했다”

부여 능산리 절터 백제 유적서 ‘섬유로 짠 最古 면직물’
삼국사기 등 문헌 기록‘백첩포’ 실물로 확인

경향신문 | 김종목 기자 | 입력 2010.07.15 18:27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면직물(사진)이 확인됐다. 14세기 후반 문익점의 목화씨 반입 시점보다 800년 앞선 것이다. 학계에서는 < 삼국사기 > 등 문헌에 나온 면직물인 '백첩포(白疊布 또는 白布)'로 추정하고 있다. 백첩포는 중국인들이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만든 면직물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고구려, 신라, 백제 당시 국내에서도 만든 기록이 나온다. 백첩포의 실물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금동대향로(국보287호)가 출토된 부여 능산리사지 서쪽 돌다리 백제 유적층에서 지난 1999년 발견한 폭 2㎝, 길이 12㎝ 가량의 직물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종단면을 관찰한 결과, 식물성 셀룰로오즈 섬유로 짜여진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면직물과 함께 출토된 '창왕명사리감'의 제작년도가 서기 567년인 것을 감안하면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온 1363년(
공민왕 12년)에 비해 800년이 앞선 것이다.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색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 안감에 쓰인 것이었는데, 그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때이다.

99년 발견 당시 이 고직물(古織物)은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섬유와 실의 상태, 직물의 조직 등이 잘 남아 있어 분석이 가능했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고직물의 정확한 용도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의류의 안감보다는 단일 용도의 물품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물관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조법과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 방식의 직물로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다"며 "백제인의 독창적인 직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사·분석에 참여한 심연옥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는 면직물의 기원과 전래에 관련, "문익점이 면 종자를 유입하기 전에 국내에서 면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며 "면직물문화 발상지인 인도나 목화 재배에 적합한 아열대 환경이었던 동남아시아 같은 곳에서 전래돼 우리 풍토에 맞게 품종을 개량해 토착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 교수는 또 " < 한원(翰苑) > 에 '(고구려 사람들이) 백첩포(白疊布)를 만드는데 청포(靑布)가 특히 아름답다'는 구절이 나오고, < 삼국사기 > 의 신라본기 경문왕조(869년)에 사십승백첩포(四十升白布) 40필을 당나라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면서 "당시 백첩포는 일반적으로 사용된 직물은 아니며 외국과의 교류에서 예물로 사용되는 등 극히 귀하게 사용된 직물이었는데, 고려 시대로 가면서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박물관과 연구진은 오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에서 '국제학술심포지엄'을 열고 추가 분석 등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다.

백제 면직물, 문익점보다 800년 앞서

MBC | 입력 2010.07.15 22:15 | 수정 2010.07.15 22:18


[뉴스데스크]

◀ANC▶

우리나라에 목화를 처음 들여온 사람은 고려 말 문익점 선생으로 알려져 있죠?

그런데 이보다 8백년 앞선 백제시대의 절터에서 목화로 짠 유물이 발견됐습니다.

문은선 기자입니다.

◀VCR▶

충남 부여 능산리 절터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천 조각입니다.

발견 당시 폭 2cm, 길이 12cm로

돌돌 말려 있던 천 조각을 현미경으로

정밀분석 했더니 면섬유의 특징이

확인됐습니다.

능산리 절터는 서기 6세기의

금동 대향로가 출토된,

대표적인 백제 유적지입니다.

문헌 기록으로 전해지던

백제 면직물 실물이

처음으로 확인된 셈입니다.

◀INT▶ 심연옥/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섬유단면에 완두콩 모양으로 가운데

중공이 있고 측면에 천연의 꼬임이 있어

확실히 면섬유라고 확증할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면직물의 재료인 목화는

고려 말인 14세기 후반 문익점 선생이

원나라에서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장화 안쪽에

붙은 것으로 제작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때로 추정돼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백제면직물은

이보다 800년이나 앞서는 것입니다.

또 꼬임이 많은 실을 교차한

독특한 직조방식은 중국에서도 그 예가

보고된 적이 없어 고대 직물제작 기술과

복식사 연구에 큰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문익점보다 800년 앞서 면직물 있었다

서울경제 | 입력 2010.07.15 16:34


14세기 고려의 학자 문익점(1329~1398)은 사신을 따르는 기록관 자격으로 원나라에 갔다가 붓대 속에 목화씨를 감춰 가져 왔다. 이것이 한반도 목화 재배의 시작이었다. 이 때부터 면직물로 의복을 지어입기 시작했다고 역사 교과서에도 기록돼 있다.

이 같은 정설을 뒤집고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문익점보다 800년 앞선 백제 시대 때부터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기획 전시 중인 국립부여박물관은 최근 전시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백제시대 유적 층에서 출토된 직물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 심연옥ㆍ정용재 교수팀과 함께 1999년 제6차 조사에서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의 백제 유적 층에서 수습한 폭 2cm, 길이 약 12cm의 직품을 관찰한 결과 면 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됨으로써 이 직물이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로 짠 면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 면직물이 발견된 곳과 같은 유적 층위에서 발견된 '창왕명 사리감'이 567년 백제 창왕 때 제작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것 역시 비슷한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면직물은 문익점 보다 800년 앞선 국내 최고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지금까지 실물이 확인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색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어 있는 것으로 그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때이다.

이번에 발견된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물 직조법과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방식으로 밝혀졌으며,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이번 조사 성과는 오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보고될 예정이다.

문익점보다 800년 빠른 국내 최고 면직물 발견

데일리안 | 입력 2010.07.15 21:56





◇ 능산리사지 출토 면직물. ⓒ국립부여박물관

백제금동대향로(국보 287호)가 출토된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국내 최고의 면직물이 발견됐다.

이 면직물은 폭 2cm, 길이 약12cm 가량으로 1999년 능산리사지 6차 발굴조사 때 발견된 이후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15일 국립부여박물관에서 개최하는 '백제 중흥을 꿈꾸다 -능산리사지' 특별전에 처음 공개됐다.

면직물의 재료가 되는 목화는 역사적으로 고려 말인 14세기 후반 경에 문익점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래됐다. 값비싼 비단에 비해 싸고 따뜻한 면직물의 보급은 당시로서는 섬유의 혁명이라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색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어 있는 것으로 그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때이다.

그러나 부여 능산리사지 서쪽 돌다리의 백제 유적층에서 출토된 면직물은 이곳에서 함께 출토된 '창왕명사리감'의 제작년도가 서기 567년임을 감안할 때 고려의 문익점이 중국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처음으로 갖고 들어왔다는 14세기에 비해 무려 800년이나 앞서는 국내 최고의 면직물로 볼 수 있다.





◇ 면직물 조직모형도. ⓒ국립부여박물관

특히 이 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방식의 직물로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으며 이 직물을 통해 백제인의 독창적인 직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국내에서 출토된 고직물(古織物)의 경우 초기 철기시대 유적인 광주 신창동 출토의 직물처럼 잘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극히 단편적 자료들이며 금속기 등 다른 유물에 고착되거나 경화된 상태로 남아있어 직물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 유물은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섬유와 실의 상태, 직물의 조직 등이 잘 남아있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첨단 기자재인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한 종단면 관찰 결과 면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돼 식물성 셀룰로오즈 섬유로 짜여진 '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 유물은 목화에서 실을 뽑아 독특한 방법으로 직조한 고대 직물로써 당시의 제직기술과 복식사 연구에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번 백제 면직물에 대한 조사 분석은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팀과, MOU기관인 한국전통문화학교(심연옥, 정용재 교수)와 공동으로 이뤄졌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금년 10월 국립부여박물관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문익점 보다 800년 빠른 ‘백제 면직물’

세계일보 | 입력 2010.07.15 19:16

부여박물관,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서 확인
독특한 직조방식… 한국 면직史 다시 써야

고려말인 14세기 후반 문익점에게서 시작됐다는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무려 800년이나 거슬러 올라갈 전망이다.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기획 전시 중인
국립부여박물관은 최근 전시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1999년 능산리 절터 제6차 조사에서 수습한 폭 2㎝, 길이 약 12㎝의 직물(사진)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심연옥·정용재 교수)팀과 함께 첨단 기자재인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한 종단면 관찰 결과, 면 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됨으로써 이 직물이 식물성 셀룰로오스 섬유로 짠 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결과는 이 직물이 목화에서 실을 뽑아 독특한 방법으로 직조됐음을 가리키는 대목이라고 박물관은 강조했다.

면직물의 재료가 되는 목화는 역사적으로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온 문익점을 통해 한반도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아가 실물을 통해 확인된 국내 최고(最古)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은 직물이 꼽혔으며, 그 제작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때로 추정됐다. 하지만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의 백제시대 유적 층에서 출토된 이번 면직물이 확인됨으로써 한국 면직물 역사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게 됐다. 이 면직물은 같은 층위에서 567년 백제 창왕 때 제작한 이른바 '창왕명 사리감'이 출토된 점을 고려할 때 문익점보다 무려 800년을 앞서는 국내 최고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이번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물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 방식의 직물로 밝혀졌으며,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이번 조사 성과는 오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보고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