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핵 위협 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작 더 긴박한 바이오 테러 위협에 대한 대처능력은 미흡한 상황이라고 의회가 설립한 초당파적 위원회의 보고서가 지적했다.
일간지 유에스에이(USA) 투데이는 9.11 테러 사건의 수사 이후 제기된 테러 대비책에 대한 각종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작년에 미 연방의회가 설치한 초당파적 위원회인 `대량살상무기 예방위원회'의 보고서를 인용해 21일 이같이 보도했다.
보고서는 농약살포 비행기를 이용해 탄저균 인자를 살포할 경우 2차대전 사망자보다 더 많은 미국인이 사망할 수 있으며, 탄저균의 정화 및 제거 등을 포함해 모두 1조8천억 달러의 경제적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미국은 현재 바이오테러 위협에 취약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바이오테러위협에 대처하는 미 행정부의 노력은 갈수록 강해지고 지능화되어가는 테러단체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대량파괴무기 예방위원회의 위원장인 밥 그래함 전 민주당 상원의원은 "시간이 별로 없으며, 이러한 경고를 무시할 경우 커다란 재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또 현재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의 고위직에 과거 클린턴과 부시 행정부와는 달리 바이오테러문제 전문가가 한 명도 없으며, 각종 질병 감시 프로그램도 준비가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어 9.11 테러사건 이후 바이오 테러에 대처하기 위해 관련 백신과 약품의 개발 및 구입이 진행되고 있지만 충분한 자금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행정부가 2010 회계연도에 3억500만달러의 관련 예산을 의회에 요청했지만 절대적으로 부족한 액수라고 밝혔다.
대량살상무기 예방위원회의 부위원장인 짐 탤런트 전 상원의원은 "바이오 무기를 개발하고 사용하는데 큰 비용이 들지 않을 정도로 세상이 변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정부는 더 적극적인 자세로 바이오 테러 위협에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닉 샤피로 백악관 대변인은 치명적인 대량살상무기로 부터 미국을 보호하는 것은 오바마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라고 해명한 뒤 정부는 35억 달러를 들여 신종플루로 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 중이며, 이보다 더 광범위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예산문제를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