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일본 원전사고, 원자력 포기 이유 안돼"
- ▲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 /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지난 3월 후쿠시마(福島) 원전사고는 원자력에 대한 신뢰에 커다란 타격을 줬지만 이번 사고가 원자력을 포기할 이유가 돼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원자력안전 고위급회담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한 뒤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보다 안전하게 원자력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때”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기술적ㆍ경제적으로 대체에너지만으로는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요증가와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그러기에 원자력의 활용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각국이 철저한 원전 안전유지 체제를 갖춰야 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협력과 공조도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원자력 안전 강화를 위해 ▲각국의 독립적인 안전규제 체제 확립 ▲원자력에 대한 신뢰 제고를 위한 철저한 투명성 확보 ▲원자력 사고에 대비한 지역적 차원의 공조 등 3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올해 10월 독립기관으로 대통령 지속의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라며 “우리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처음으로 국제원자력기구의 통합규제검토서비스를 검사받았다”고 밝혔다.
또 “‘국제원자력안전학교’를 설립, 원자력을 시작하려는 국가들이 안전규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술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관계자들을 교육하고 있으며,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안전체험교육’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원자력 사고는 인접국가와 철저한 정보공유와 협의를 통해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면서 “이런 점에서 지난 5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원자력안전 강화와 재난관리를 위한 상호협력에 합의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978년 원전을 도입한 한국은 현재 21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으며 5기가 건설 중에 있다”면서 “한국은 원자력을 이용하면서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있으며 세계 최저 수준의 사고ㆍ고장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따라 대체에너지 개발에 집중 투자하는 동시에 원자력을 적극 활용해나갈 계획”이라며 “내년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통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대량 공급이 가능한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가 나오기 전까진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100%에 가까운 우리나라에선 원자력을 포기 할 수가 없다. 태양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가 원자력을 대체하는 수준까지 이르렀을때 하나 둘씩 줄여나가면 되는 것이다. 당장에 대체할 수 없는 원자력을 반대하는 것은 대한민국을 침몰시키자는 것과 동일한 소리다.
'과학기술 > 녹색성장의 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폐기물 없는 토륨원자로 개발해야 (매일경제 2011.03.02 10:32:49) (0) | 2011.10.14 |
---|---|
공중에 황 입자 뿌려 더워진 지구를 식힌다? (한국일보 2011.09.26 20:01:45) (0) | 2011.09.27 |
후쿠시마는 ‘세슘의 바다’ (서울신문 2011-09-02) (0) | 2011.09.02 |
`참치 대란 오나` 긴장 (한국일보 2011.08.22 21:52:01) (0) | 2011.08.23 |
시화호 조력발전소 3일부터 조기 발전 (국토해양부 2011-08-02 11:00) (0) | 201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