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샤댐 범람→강하류 상하이 대홍수→원전 9기 영향 불가피
전문가들 "제2 후쿠시마 사고 염려…제주·남해안 직접 피해"
중국에 6월부터 쏟아진 폭우로 남부 양쯔강 중하류 일대가 대범람 위기에 처했다. 이 지역에 건설된 세계 최대 규모인 싼샤(三峽)댐의 수위가 한계점에 도달하자 수압에 의한 붕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강 하류인 상하이 지역 대홍수는 물론 이 지역에 밀집해 있는 9기의 원자력발전소까지 영향을 받아 그 피해가 고스란히 한반도로 향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온다.
24일 외신과 중국 당국의 발표 등에 따르면 중국 남부지역 큰비와 홍수로 장시·안후이·후베이성 등 27개 지역에서 22일 기준 이재민 4552만명, 사망 및 실종 142명, 가옥 파손 3만5000채의 피해를 당했다. 이재민 규모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90%에 맞먹는 수준이며 직접적인 경제손실액만 19조원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번 폭우로 중국 남부 양쯔강 중하류에 있는 세계 최대 규모 수력발전용 싼샤댐이 최고 수위에 근접하자 수압에 의한 붕괴 위험까지 제기되고 있다. 만약 이 댐이 한계수위를 넘어 범람하거나 수압을 못 견디고 무너진다면 양쯔강 하류인 상하이 지역 대홍수가 불가피하고, 이 지역에 건설된 9기의 원전까지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전자력 실무 전문가단체인 원자력안전과미래 이정윤 대표는 "양쯔강 하류에 위치한 친산, 핑자산 지역(상하이 인근)에 원전이 7기, 2기씩 있는데 싼샤댐이 범람해 이 지역이 침수되면 대형 원전사고가 우려된다"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이 침수에 의한 원자로 냉각기능 상실로 벌어졌는데 똑같은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싼샤댐은 2006년 완공된 세계 최대 수력발전댐이다. 댐의 길이는 2.3㎞, 높이는 181m이며, 최대 저수량은 393억㎥이다. 쌴샤댐 수위는 이달 20일 기준 홍수조절 수위(145m)를 약 20m 넘긴 164.4m까지 치솟았다. 최고 제방높이(181m)에 근접하면서 이미 댐 바닥이 변형되기 시작했다는 중국 내 학계의 보고가 있어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달 11일에는 중국 수자원을 관리하는 정부기관인 수리부 소속 예젠춘 부부장이 "지금은 건국 이래 최대 홍수를 방어할 수 있으나 예상보다 많은 홍수가 발생하면 방어능력을 초과해 블랙스완(Black Swan·예기치 못한 자연재해나 경제위기)의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고 발언해 큰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전 세계 전문가들이 싼샤댐이 이미 막대한 저수량에 의한 수압에 지진 발생까지 야기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상황에서 현지 전문가들과 국내 재난·원전 전문가들이 싼샤댐 붕괴 땐 양쯔강 하류의 9기 원전에 직접적인 타격까지 가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이들 9기 원전 중 2기는 안전에 취약한 중수로 원전이어서 사고 시 방사능 유출 위험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쓰나미(지진해일)로 발전소가 침수됐다. 이로 인해 전력 공급이 끊겨 냉각 기능이 작동을 멈춰 핵연료가 녹아내리고 원자로 폭발이 발생했고, 다량의 방사능 물질이 유출됐다. 싼샤댐 붕괴로 강 하류 원전지역이 침수되면 똑같은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는 얘기다.
원전 학계 한 인사는 "중국 상하이 지역 원전에 사고가 발생해 방사능이 유출되면 크루시오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 제주 지역과 남해안이 직접 피해를 보고 일본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중국 당국이 댐 최대 수위인 175m까지 물이 차도 끄떡없다고 한 만큼 이를 믿고 공포감을 조성할 필요는 없지만 중국의 폭우 사태가 한반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에 대비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싼샤댐 세번째 홍수...27일 밤 고비 '피해 잇따라'(파이낸셜뉴스 2020.07.27 16:58)
온라인상에 떠돌고 있는 중국 싼샤댐 홍수 전(왼쪽)과 홍수 후 제방의 변화 모습. 대만 자유시보 캡쳐.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중국 싼샤댐에 올해 세 번째 홍수가 밀려왔다. 중국 당국은 싼샤댐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온라인상에선 싼샤댐 제방 변형성이나 붕괴설이 여전히 떠돌고 있다. 추가 홍수와 싼샤댐 방류의 피해도 잇따르는 상황이다.
27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홍수 통제 당국은 전날 오후 2시(현지시간)를 기해 창장(양쯔강) 상류 지역에 올해 3호 홍수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쓰촨 등 창장 상류 지역에서 모인 3호 홍수는 26일부터 싼샤댐에 도달했으며 이날 밤에 초당 6만㎥로 유입량이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26일 오후 2시 현재 싼샤댐 수위는 159.46m로 최고점인 175m까지 15m가량 남은 상태다. 따라서 유입량이 늘어나면 수위도 함께 올라가게 된다. 싼샤댐의 통제 수위는 145m다.
같은 날 오전 6시께 창장 상류의 내륙항인 춘탄항은 올 들어 처음으로 경계수위인 180.5m를 넘보고 있으며 창장 지류인 자링장은 오전 10시께 경계수위를 3m 초과한 184.07m에 달하면서 상가 수십 곳이 침수됐다. 또 창장과 자링장이 합류하는 차오톈먼 수역에선 오전 11시에 랜드마크 건축물이 물에 잠겼다.
지난 25일에는 싼샤댐보다 상류에 있는 충칭시 우링에서 호우로 산사태가 나면서 창장 지류인 창허에 저수량이 40만t에 달하는 대형 언색호가 생겼다. 언색호는 지진이나 산사태 등으로 하천이 막혀서 생기는 호수다.
현지 지방 정부는 일대 주민 500여명을 긴급히 대피시켰다. 그러나 창장 상류의 쓰촨성 이빈시에서 전날 새벽 산사태가 나 공장에 있던 2명이 숨졌다.
쌴사댐 수위가 올라가면 다시 물을 내려 보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하류 지역의 피해가 예상된다. 창장 중·하류에는 우한, 난징, 상하이 등 대도시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다.
중국은 홍수가 계속되자, 이미 지난달 말부터 초당 3만㎥의 물을 방류하면서 수위를 조절했고 후난성(20일 기준)에서만 601만명이 수해를 입고 3만7000명이 긴급 대피하는 등 피해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중국 응급관리부는 지난달 1일 장마철 시작 후 홍수로 장시·안후이·후베이성 등 27개 지역에서 4552만3000명의 수재민이 발생하고 142명이 사망·실종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또 가옥 3만5000채가 붕괴하는 등 직접적인 경제손실액은 1160억5000만위안(약 19조8000억원)에 달했다. 홍수가 계속되면서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싼샤댐의 안전에 대한 의혹도 쏟아지고 있다. 유입량이 늘면 무게를 감당하지 못한 싼샤댐 제방이 변형되거나 붕괴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이렇게 되면 하류 지역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된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유언비어”라고 일축하고 있다. 싼샤댐을 관리하는 싼샤그룹 책임자는 최근 “댐의 안전 운영상태는 양호하며 어떠한 변형이나 위험도 나타나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자연재해 > 호 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드리포트] 세계 최대 싼샤댐 과연 안전할까…직접 가봤더니 (SBS 뉴스 2020.07.29 11:29) (1) | 2020.07.30 |
---|---|
中 싼샤댐 방류로 연쇄 피해…산사태에 강 막히기도(연합뉴스 2020-07-21 23:25) (0) | 2020.07.29 |
'터지면 끝' 中싼샤댐 붕괴설 끊이지 않는데…주말 또 폭우 온다(서울경제 2020.07.25 16:43:32)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