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 로 필/언론보도 1

국토 최남단 '가거도 향리항' 국가항 개발 (뉴시스 2012/06/09 08:08)

국토 최남단 '가거도 향리항' 국가항 개발

 

 

 국토 최남단에 위치한 신안 가거도 향리항이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지정돼 그동안 태풍으로 훼손과 유실이 반복되던 가거도항의 대체항으로 개발된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최근 영토 끝단에 위치한 주요 도서항만에 대해 국가관리연안항으로 11개소를 지정했으며 전남에서는 가거도 향리항과 함께 대흑산도항, 거문도항이 선정됐다.

가거도 향리항은 가거도 서북단의 가거도 2구 지역에 위치해 태풍 등 기상 악화 시 선박 대피항으로서 유리한 지리적 여건과 항세를 갖추고 있다.

또 우리나라 서해안 남단 영해한계선 최외곽에 위치해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의 불법어로 단속은 물론 국내 어선 보호를 위한 해경 선박의 기항지로서도 매우 적합한 곳이다.

그럼에도 향리항은 기상악화 시 피난항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어 국가어항에 걸맞는 새로운 항만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여기에 1978년부터 2008년까지 30여년동안 1300억원을 쏟아부었음에도, 지난해 9월 태풍 '무이파'에 의해 개당 64톤의 테트라포트(TTP·방파제 역할을 하는 4개 뿔 모양의 구조물) 2000여개가 부서지거나 유실됐고 방파제만도 220m나 파손됐다. 이에 따른 복구 소요 예산은 2600억원에 달했다.

이 때문에 전남도는 그동안 가거도항의 대체항으로 향리항을 개발해주도록 국토해양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가거도 향리항이 국가항만으로 개발되면 영해관리항으로서 중국 어선들의 불법조업에 따른 수산자원 고갈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상 악화 등 유사 시 그동안 흑산도항이나 목포항으로 대피하던 선박들이 보다 안전한 지역인 가거도 서북쪽 향리항으로 대피할 수 있게 돼 피난항으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할 전망이다.

이인곤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국가관리연안항은 접안시설, 배후단지 등이 국비로 개발된다"며 "항만 개발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도와 주민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되도록 빨리 개발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