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바로알기

1600년전 삼국시대 기마장군 잠깨다 (경향신문 2009.06.03)

1600년전 삼국시대 기마장군 잠깨다

ㆍ경주 쪽샘지구서 갑옷·마구류 세트로 출토

중무장하고 말 탄 삼국시대 중장기병 장수가 1600년 만에 무덤 밖으로 걸어나왔다. 4~6세기 신라 왕족·귀족의 집단묘역으로 알려진 경주 쪽샘지구에서 중장기병이 착용한 갑옷·마구류가 온전한 모습으로 출토됐다.

고구려 벽화속 중장기병 장수의 갑옷과 비슷한 갑옷류와 마구류 일체가 온전한 모습으로 경주 쪽샘지구에서 출토됐다. 사진 제공 | 문화재청

삼국시대 중장기병의 모습은 고분벽화에서나 존재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갑옷·마구류가 단편적으로 출토됐을 뿐이다. 갑옷의 경우 판갑(철판으로 만든 갑옷)은 종종 출토됐지만 찰갑(札甲·비늘식 갑옷)은 일부 부속구만 출토됐다. 원형은 안악3호분·쌍영총·삼실총·개마총 등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서만 짐작할 수 있었다. 말의 갑옷인 마갑은 1992년 함안 마갑총(馬甲塚)에서 원형을 추정할 수 있는 수준의 형태로 출토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쪽샘지구 출토품은 그보다 상태가 훨씬 양호하고 완전하다는 평가다. 지병목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소장은 “마구류와 갑옷류가 이처럼 세트를 이뤄 출토된 사례는 동아시아에서도 드문 사례”라고 밝혔다.

조사 결과 무덤 주인공이 묻힌 주곽에서는 목곽 안 바닥에 마갑을 깔고 그 위에는 말을 탄 장군이 입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찰갑이 놓인 상태였다. 찰갑은 가슴 가리개인 흉갑과 등 가리개인 배갑(背甲)을 펼쳐 깔았다. 시신이 찰갑을 입은 상태로 안치되지 않고 찰갑 위에 안치됐다고 보는 이유다. 흉갑과 배갑은 옆구리에서 여미게 만든 양당식 구조였다.

환두대도에서부터 말 얼굴가리개까지 중장기병이 착용하는 도구 ‘일습’도 발굴됐다.

갑옷의 북쪽에는 환두대도(둥근고리자루긴칼)와 녹각병도자(사슴뿔모양 자루갖춤 작은칼)가 발견됐다. 연구소는 “환두의 위치가 동쪽을 향한 것으로 보아 시신은 머리를 동쪽에 두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머리 쪽에는 고배(높은 다리 달린 잔)와 장경호(목이 긴 항아리) 등의 토기와 창, 도끼 등의 철기류가 나왔고 발치에서는 만곡종장판주(긴 철판을 연결해 만든 투구)와 목가리개, 견갑, 비갑 등으로 추정되는 작은 파편들이 무더기로 나왔다. 부곽에서는 말 얼굴가리개인 마주를 비롯해 안교(안장틀)ㆍ등자(발받침)·재갈·행엽(말의 치레거리) 등의 마구류와 대호(큰항아리)와 유개사이부호(뚜껑이 있고 네 귀가 달린 항아리) 등의 토기류가 수습됐다.

이번 쪽샘지구 C10호묘는 동서 방향으로 주곽(440×220㎝)을 파고 그 안에 목곽(380×160㎝)을 안치했으며, 그 서쪽에는 부곽(260×220㎝)을 마련하고 그 안에 다시 목곽(210×160㎝)을 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주곽에선 30개 이상의 꺾쇠가 발견됐다.

연구소는 이번 출토품을 토대로 삼국시대 중장기병의 모습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4~5세기 신라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중장기병대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을 한 장수의 완연한 모습이 1600년 만에 되살아나게 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5세기 신라는 고구려로부터 중장기병을 받아들여 국방력을 키웠고 이를 토대로 삼국통일을 이뤄냈다”며 “전환기에 있던 신라를 해명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