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바로알기

신라 기병의 철갑옷 1600년 만에 햇빛 (중앙일보 2009.06.03)

신라 기병의 철갑옷 1600년 만에 햇빛

신라 장수의 백골은 진토가 되어 사라지고 적의 화살과 창을 막아내던 그의 갑옷이 1600년 만에 햇빛을 봤다. 신라 중장기병(重裝騎兵·중무장한 기마 무사)의 실체가 처음으로 드러났다. 신라 고분 최대 밀집지인 경북 경주시 황오동 일대 ‘쪽샘지구’의 고분. 5세기께 장수가 착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찰갑(札甲·비늘형 갑옷)은 물론 마갑(馬甲·말에 장착한 갑옷)과 마구류 일체가 출토됐다. 삼국시대 장수·말의 갑옷이 온전히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일 ‘쪽샘지구 C10호 묘’ 발굴 현장을 공개했다.

◆삼국시대 말 탄 장수 원형 드러나=이건무 문화재청장은 현장 브리핑에서 “신라가 고구려에서 받아들인 중장기병을 통해 장차 삼국통일을 이룰 강한 국방력을 키워나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신라 중장기병의 실체를 확인한 첫 발굴 성과”라고 설명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1992년 함안 마갑총에서 마갑을 발굴한 바 있지만 장수의 찰갑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 출토품은 그보다 훨씬 완전한 모습을 보여준다는 게 이 청장의 설명이다. 갑옷의 경우에도 판갑(板甲·큰 철판으로 만든 갑옷)은 종종 출토됐지만, 작은 쇳조각을 여럿 이어 만든 찰갑은 일부 부속구만 발견됐을 뿐이다. 찰갑은 판갑에 비해 몸을 움직이기 쉽다. 기마대의 기동력을 끌어올리는 데 효과적이다. 흔히 고구려의 기마대가 강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실물로 전해지는 것은 없다. 고구려 ‘쌍영총’ 등에 찰갑으로 중무장한 기마 부대의 벽화가 남아 있어 그 원형을 짐작하게 할 뿐이다.

이건무 청장은 “고구려는 죽은 자의 부장품을 무덤 밖에 놔두고 집어가게 하는 풍습이 있었기에 어지간해서는 유물이 나오지 않는다”며 “북위나 선비, 중국 위나라도 찰갑을 사용한 흔적이 화상전(그림이 그려진 벽돌) 등에 남아있을 뿐 실물은 전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찰갑과 마갑, 창과 칼 등 그림으로만 보던 무사의 모습이 신라 고분에서 비로소 드러난 것이다.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고분 삼실총 벽화에 나타난 중장기병의 모습. 이번에 출토된 신라 장수의 갑옷도 이와 유사한 형태를 지닌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 제공]


◆독특한 부장문화가 남긴 갑옷=C10호 묘는 주부곽식 목곽묘(主副槨式木槨墓). 시신을 매장하는 주곽(主槨) 옆에 각종 부장품을 넣어두는 부곽(副槨) 구덩이를 별도로 마련한 뒤 나무로 곽을 짜 넣은 것이다. 신라 왕릉에 흔히 나타나는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으로 가기 이전 단계의 고분 형태다. 주곽에는 말이 착용하는 갑옷이 목·가슴 부분, 몸통 부분, 엉덩이 부분 순으로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차례대로 바닥에 깔렸다. 그 위에 장수가 입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찰갑이 반듯하게 놓여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지병목 소장은 “갑옷을 바닥에 차례로 깔고 그 위에 시신을 놓았기에 평평한 상태로 출토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갑옷을 입힌 상태로 매장하거나, 목곽 위에 갑옷을 안치하면 나무나 시신이 썩는 속도에 따라 유물이 주저앉으면서 들쭉날쭉한 상태로 남게 된다는 것이다. 지 소장은 “발굴 상태로 보아 말은 함께 매장하지 않은 것이 거의 확실하며, 갑옷 위에 안치한 장수의 시신은 흙먼지가 되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주=이경희 기자

◆쪽샘지구=경주시 황오·황남·인왕동 일대에 형성된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집단 묘역. 총 면적 38만4000㎡에 달하는 쪽샘지구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발굴지다. 1960년대 이후 민가가 들어서면서 고분 유적의 훼손이 심각한 상태가 됐었다.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고분군 발굴을 위해 2002년부터 이 지역 민가와 사유지 등을 사들인 뒤 2007년 3월 발굴을 시작했다. 국가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신라 적석목곽분과 목곽묘, 석곽묘, 옹관묘 등 무덤 150여 기가 무더기로 확인됐다. 금으로 만든 귀걸이, 금동 말안장 등 유물 3000여 점도 쏟아졌다. 경주시는 쪽샘지구 일대를 고분공원으로 조성해 발굴 과정을 일반에 공개하며 관광자원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지역을 전부 발굴하는 데는 앞으로 20년쯤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신분 높은 신라 장수의 무덤 추정”
칼·투구·토기류도 나와


주곽의 크기는 묘광(무덤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판 구덩이)이 가로 440㎝X세로 220㎝, 목곽은 380㎝X160㎝ 규모다. 주곽의 서쪽편에 위치한 부곽은 묘광 260㎝X220㎝, 목곽은 210㎝X160㎝ 크기다.

주곽에 안치된 마갑(말 갑옷)은 머리부터 꼬리까지 총장이 220㎝에 이른다. 몸통 부분만 가로 130㎝, 세로 100㎝ 크기다. 쇠찰들이 총총히 맞물린 채 가지런히 놓인 상태에서 측정된 것이므로 들어올려 복원하면 이보다 더 커질 것이라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마갑 위에 놓인 장수의 갑옷은 마갑의 찰갑편(7~12㎝)에 비해 찰의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구분되었다.

찰갑 옆에는 84㎝ 길이의 환두대도(둥근 고리를 단 자루 칼)와 녹각병도자(작은 칼의 손잡이를 사슴뿔로 만들어 끼운 것)가 놓여 있었다. 환두대도의 손잡이가 동쪽으로 향한 것으로 보아 시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해 놓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검의 발치 부분에는 무사들이 착용하는 종장판주(縱長板胄·굽은 형태의 긴 철판을 세로로 연결해 만든 투구)와 목가리개인 경갑(頸甲), 찰갑의 부속류인 견갑(肩甲·어깨를 보호하는 갑옷), 비갑(臂甲·팔을 보호하는 갑옷) 등으로 추정되는 다량의 소찰도 무더기로 쌓여 있었다. 주검의 머리맡에서는 고배(高杯·높은 다리 달린 잔) 등의 토기류와 쇠로 만든 창, 쇠도끼 등의 철기류가 출토됐다.

부곽에서는 마주(말 얼굴 가리개)와 안장틀, 등자(발을 거는 부분), 재갈 등이 출토됐다. 대호(大壺·큰 항아리), 유개사이부호(有蓋四耳附壺·뚜껑이 있고 손잡이 4개가 어깨 부분에 달린 항아리) 등의 토기류도 함께 나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지병목 소장은 “소장품 규모로 봤을 때 신분이 높은 신라 장수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