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국제아리랑축제를 격년제로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는 소식이다.
강운태 시장은 27일 “정부가 국내 아리랑 전체를 수집해 내년에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할 예정이니 문화재단이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과 협의해서 내년에 아리랑 축제를 주도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시의 기본적인 구상은 2년마다 열리는 회화중심의 축제인 광주비엔날레의 사이에 해마다 소리중심의 아리랑 축제를 병행해 개최한다는 것이다. 회화와 소리를 중심으로 한 두 축제가 맞물려 개최되면 문화도시로서의 광주시 위상제고에 상당한 보탬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듯싶다.
시의 이번 결정은 최근 중국 국무원이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의 아리랑과 랴오닝(遼寧)성의 춘향가, 심청가 등 판소리를 제3차 국가 무형문화유산에 등재한 것이 알려지면서 국민들 사이에 아리랑을 지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아리랑 주권’을 지켜야 한다는 국민들의 주장에 시가 나름대로 발 빠르게 대처한 것이다.
그러나 여론의 흐름에 영합한 한건주의의 발상이 내재해 있다. 여러 가지 사안을 고려하지 않은 즉흥적이고 신중하지 않은 정책입안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쉽게 말하면 돈 되는 일이라면 편의점까지 진출하는, 대기업의 문어발식 경영과 다를 바 없다. ‘축제꺼리’가 된다 싶으니 남의 동네 것이지만 백화점 상품처럼 잘 포장해 팔아보겠다는 심보를 읽을 수 있다. 시의 아리랑 축제 개최 추진은 ‘문화중심도시’를 명분삼아 다른 지역에서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아리랑을 탈취하는 행동에 다름 아니다. 한국 것을 왜 중국이 무형문화유산으로 삼느냐는 항의와 불만은 역으로 광주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아리랑에 대한 지역민들의 애정과 전승노력은 광주시보다는 전남 진도나 경남 밀양, 강원 정선지역이 훨씬 깊고 애틋하다.
아리랑의 본고장이랄 수 있는 이들 지역과 사전협의를 했거나 양해를 구했다면 사정은 다르다. 또 광주시가 아리랑의 전승과 보전을 위해 그동안 예산과 행정지원을 해왔다면 시의 이번 결정은 명분이 있다. 그러나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았으면서도 문화중심도시를 지향하는 도시라는 점을 핑계 삼아 아리랑 축제를 개최하겠다고 나선 것은 떳떳하지 못한 처사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