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청정골 화순

충청인구가 호남인구를 앞지르기 시작했다.(호남인구문제연구소 2013/06/08 )

충청인구가 호남인구를 앞지르기 시작했다.

 

펌)'세종시 품은' 충청권, 호남 제치고 '제2 정치 세력권' 부상 
 
5월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충청이 호남보다 408명 많아
호남은 이농 지속,충청은 세종시 유입 인구 급증이 주원인
유한식 시장 "충청권 정치 위상 높아진 만큼 '특별법' 조속 처리를…"

 
최준호 choijh5959@hanmail.net
등록일: 2013-06-03 오후 7:32:02 
  
- 세종시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의 여파로 충청권 인구가 사상 처음 호남을 추월했다. 사진은 지난해부터 내년말까지 신도시에 들어설 정부세종청사 전체 조감도. ⓒ 안전행정부 제공
 
 '세종시의 힘'이 중앙과 지방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됐다. 신도시 건설 여파로 충청권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호남권을 추월했다. 이에 따라 세종시를 중심으로 하는 충청권은 앞으로 영·호남에 대등하게 맞서는 정치 주도 세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충청>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일제 때인 1925년 당시 광주(광역시) 인구는 2만3천734명으로 대전(8천614명)의 약 3배나 됐다. 근대 산업이 발달하기 전이어서,같은 해 곡창지대인 호남 전체 인구(352만7천523명)는 충청도(212만9천514명)보다 139만8천9명(66%)이나 많았다.
 
 충청·호남권 주민등록 인구 추이 비교 ⓒ 단위:명(사진생략.) 
 

 그러나 이로부터 40년이 지난 1960년대 산업화 이후,호남권 이농 현상은 전국에서 가장 심했다. 게다가 2005년부터 충청권에는 '지역균형 발전'의 상징인 세종시가 들어서면서 그 동안 줄어들던 인구가 다시 늘기 시작했다. 호남은 줄어들고,충청은 늘어나고…. 마침내 두 지역 사이의 인구 격차는 역전됐다.
 
 안전행정부가 3일 발표한 '5월말 기준 전국 시·도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충청권 4개 시·도 인구는 총 525만136명이다. 반면 호남권 3개 시·도 인구는 524만9천728명으로,충청권보다 408명 적다. 4개월 전인 올해 1월말에만 해도 호남권이 충청권보다 1만5천268명 많았다. 그러나 충청권은 세종시 건설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반면 호남권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하략)

출처:충북일보 홈피(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289986
 

→도대체 대책이 있는 건가 없는 건가? 어쩌다 호남인구가 충청인구에 추월을 허용하는 굴욕을 강하게 되었는지? 지역감정을 조장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심각한 문제가 아닐수 없어 오죽했으면 이렇게 글을 적지 않을수 없다.
 
 일자리 창출은 잘 안되고 기업도시는 변변히 무산되었으며 교통망 확충은 후순위에 밀리고 있을대로 밀리고 있고 각 지자체들은 어떻게 살림살이를 했길래 인구가 늘어나기는 커녕 줄고만 있단 말인가?
 
 이거야 원? 전남북주민들을 총망라를 한 가칭:호남인구감소문제대책위원회, 호남인구문제연구소를 만들어서라도 어떻게 하면 호남인구를 다시 늘릴수 있을련지? 머리를 맏대며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을것으로 보며 기업도시사업도 다시해야 하고 농림수산업 전문과학비즈니스벨트니 해양수산업 전문과학비즈니스벨트니 그런 사업을 유치해서라도......
 
 이 신문기사를 생각해본다면 얼마나 계속되는 호남인구 현실에 대해 짜증날 정도로 답답하지 않을수 없는 것인지? 본인을 포함해 호남주민 전체 각성하고 정신차릴 필요가 있겠다.

 

'세종시 품은' 충청권, 호남 제치고 '제2 정치 세력권' 부상

 (충북일보 2013-06-03 오후 7:32:02)

5월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충청이 호남보다 408명 많아
호남은 이농 지속,충청은 세종시 유입 인구 급증이 주원인
유한식 시장 "충청권 정치 위상 높아진 만큼 '특별법' 조속 처리를…"

 

 
- 세종시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의 여파로 충청권 인구가 사상 처음 호남을 추월했다. 사진은 지난해부터 내년말까지 신도시에 들어설 정부세종청사 전체 조감도.
ⓒ 안전행정부 제공

'세종시의 힘'이 중앙과 지방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됐다. 신도시 건설 여파로 충청권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호남권을 추월했다. 이에 따라 세종시를 중심으로 하는 충청권은 앞으로 영·호남에 대등하게 맞서는 정치 주도 세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충청>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일제 때인 1925년 당시 광주(광역시) 인구는 2만3천734명으로 대전(8천614명)의 약 3배나 됐다. 근대 산업이 발달하기 전이어서,같은 해 곡창지대인 호남 전체 인구(352만7천523명)는 충청도(212만9천514명)보다 139만8천9명(66%)이나 많았다.

 
충청·호남권 주민등록 인구 추이 비교
ⓒ 단위:명
그러나 이로부터 40년이 지난 1960년대 산업화 이후,호남권 이농 현상은 전국에서 가장 심했다. 게다가 2005년부터 충청권에는 '지역균형 발전'의 상징인 세종시가 들어서면서 그 동안 줄어들던 인구가 다시 늘기 시작했다. 호남은 줄어들고,충청은 늘어나고…. 마침내 두 지역 사이의 인구 격차는 역전됐다.

안전행정부가 3일 발표한 '5월말 기준 전국 시·도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충청권 4개 시·도 인구는 총 525만136명이다. 반면 호남권 3개 시·도 인구는 524만9천728명으로,충청권보다 408명 적다. 4개월 전인 올해 1월말에만 해도 호남권이 충청권보다 1만5천268명 많았다. 그러나 충청권은 세종시 건설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반면 호남권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충청권내=신도시 건설에 따른 인구 분포 변화는 충청권 및 세종시 내부에서도 심하다.

우선 인근 지자체인 공주시와 세종시 사이의 위상 변화다. 공주시는 청원군과 함께 시 일부 지역이 세종시로 편입되면서 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세종시 출범 직전인 지난해 6월말 12만4천137명에서 올해 5월말에는 11만6천870명으로 11개월 사이 7천267명(5.9%) 줄었다. 반면 세종시는 지난해 6월말 8만8천256명(연기군)에서 올해 5월말에는 11만6천842명으로 11개월 사이 2만8천586명(32.4%) 증가했다. 이에 따라 두 지자체 간 인구 격차는 28명으로 감소,세종시 출범 1주년인 7월이면 역전될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내의 경우 신도시와 주변 지역은 급증하는 반면 일부 농촌(면)지역에서는 신도시로 입구가 유출됨에 따라 인구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예컨대 신도시 중심인 한솔동은 5월말 인구가 2만551명으로 조치원읍(4만5천887명)에 이어 세종시내 11개 읍·면·동 가운데 두번째로 인구가 많다. 한솔동은 오는 7월부터 대대적으로 아파트 입주가 진행될 예정이어서,2015년말쯤이면 조치원읍을 제치고 세종시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읍·면·동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는 물론 앞으로 있을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등에서 충청권의 위상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6월 4일 치러질 세종시장과 시의원 선거에서도 지역 별 지지층 분포에서 큰 변화가 나타날 전망이다.

유한식 세종시장은 "수도권에 있던 상당수 정부 부처와 사람이 세종시로 유입,이제 충청권은 인구가 호남보다 많아지면서 정치적 위상이 높아진 만큼 정부와 중앙 정치권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세종시특별법'을 조속히 처리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 인구유입 대책 ‘헛심’ 
 (광주매일 2013. 08.08. 00:00)

2010년 ‘반짝’ 증가이후 다시 감소세 뚜렷
道, 관련업무 분산·전담부서 없어 효과↓

 

2010년 반짝 증가세로 돌아섰던 전남지역 인구 감소세가 다시 뚜렷해지고 있다.

전남도와 일선 시·군이 다양한 인구 유입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각 부서별로 업무가 분산되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 한계에 봉착한 양상이다. 특히 대도시에 뒤쳐지지 않는 교육 여건과 경제적 뒷받침이 이뤄지지 않는 한 인구 유입을 이끌어 내기 힘들어 전남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7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전남의 주민등록 인구는 190만6천28명으로 집계됐다.

■전남 인구 추이(단위 : 명)
2004년 인구 200만명 시대가 무너진 지 10년 사이에 10만명에 가까운 인구가 전남을 빠져나간 셈이다.

연도별 전남 인구는 2003년 201만7천730명, 2004년 198만6천192명, 2005년 196만7천205명, 2006년 194만2천925명, 2007년 192만9천836명, 2008년 191만9천명, 2009년 191만3천4명으로 연 평균 0.88%씩 줄었다.

이어 2010년에는 191만8천485명으로 전년 대비 5천481명(0.3%)의 인구가 늘었다. 당시 전남 인구가 증가한 것은 1998년 0.4% 늘어난 이후 12년만의 일. 이는 주민등록말소자 부활로 인한 일시 증가였으며 실질적으로 6천여명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결국 전남 인구는 1년 만인 2011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1년 전남 인구는 191만4천339명으로 4천1456명(0.1%) 줄었다. 2012년에도 190만9천618명으로 4천721명 감소했다. 올 7월말 현재 인구는 190만6천28명으로 불과 7개월 만에 3천590명이 빠져 나갔다.

이처럼 갈수록 전남 인구 감소 폭이 커짐에 따라 행정당국의 인구 유입 대책이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남도는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3농 정책, 행복마을, 은퇴자도시 등 다양한 인구 유입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선 시·군도 출산장려금 지급 등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대도시에 비해 열악한 교육환경과 경제활동 영역 부족 등 삶의 질 향상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전남 인구 증가는 요원하다는 게 중론이다. 또한 전남도 각 부서별로 인구 증가 대책을 추진하는 반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인구 전담 부서가 없는 것도 인구 대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보인다. 실제 주민등록 인구 집계는 행정과, 은퇴자도시 업무는 지역계획과, 행복마을은 행복마을과 등으로 각각 분산돼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국토개발 불균형, 열악한 경제·교육·문화 여건 등으로 전남 인구가 줄고 있다”며 “광주·전남혁신도시와 지역별 은퇴자도시 등을 잘 조성하면 적지 않은 인구 유입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남 〈 충청 ‘인구 역전’ 가속화

 (광주일보 2013년 08월 08일(목) 00:00)

 달만에 격차 6000명 넘게 벌어져 … 정치 지형에도 영향 미칠 듯

 

지난 5월 광주와 전남·북의 인구가 1925년 이후 처음으로 충청권에 추월당한 데 이어, 두 달 만에 그 격차가 6000명 넘게 벌어졌다.〈광주일보 6월 11일자 1면 참조〉

7일 안전행정부와 전남도에 따르면 7월말 현재 주민등록 기준 호남권 인구는 광주시 147만2357명, 전남도 190만6028명, 전북도 187만1570명 등 총 524만9955명이었다.

같은 시기 충청권 인구는 세종특별자치시 11만7369명, 대전광역시 153만226명, 충남도 203만9668명, 충북도 156만9348명 등 525만6611명이었다.

지난 5월 충청권 인구는 처음으로 호남을 앞질러 408명이 많았는데, 2개월 만에 충청지역에 사람이 더욱 몰리면서 호남과의 인구 격차가 6656명으로 크게 벌어졌다.

호남은 지속적인 이농현상 등으로 인구가 줄고 있지만 충청권은 정부 부처 이주가 속속 마무리되고 있는 세종시가 건설되면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내년 말까지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 작업이 마무리되고,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는 등 충청권에 인구 유입 호재가 많아 두 지역 간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또 지역간 인구 역전 현상은 정치 지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인구 역전에 따라 두 지역 간 19세 이상 유권자 수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5월 유권자 수는 호남권(415만4832명)이 충청권(414만6931명)보다 7901명이 많았지만, 두 달 새 그 격차는 3201명(호남 416만44명, 충청 415만6843명)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지난해 18대 대선 때 두 지역 유권자 수 격차는 2만3865명(충청 410만4726명, 호남 412만8591명)이었다.

호남·충청 간 인구 변화가 정치적 영향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빛가람도시로 옮겨오는 공공기관의 이주 작업이 차질없이 이뤄져야 하고, 관련 산업체 등을 유치하는 등의 후속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